不毛之地 bù máo zhī dì 불모지

Explanation

不生长草木庄稼的荒地。形容荒凉、贫瘠。

식물이나 곡식이 자라지 않는 황무지. 황량하고 척박한 지역을 묘사합니다.

Origin Story

公元前597年,楚庄王率军攻打郑国,一举攻破郑国都城,郑襄公见大势已去,只好赤膊上阵,向楚庄王请降,表示愿意割地赔款,并将郑国子民作为奴隶献给楚国,只求楚庄王能给他留下一点不毛之地让他得以生存。楚庄王见郑襄公如此诚恳,便答应了他的请求,让他在荒凉贫瘠之地苟延残喘。消息传到郑国后,百姓都悲叹不已,感叹自己未来的命运。

gōngyuán qián 597 nián, chǔ zhuāng wáng shuài jūn gōng dǎ zhèng guó, yī jǔ gōng pò zhèng guó dū chéng, zhèng xiāng gōng jiàn dà shì yǐ qù, zhǐ hǎo chì bó shàng zhèn, xiàng chǔ zhuāng wáng qǐng jiàng, biǎoshì yuànyì gē dì péi kuǎn, bìng jiāng zhèng guó zǐmín zuòwéi nú lì xiàn gěi chǔ guó, zhǐ qiú chǔ zhuāng wáng néng gěi tā liú xià yī diǎn bù máo zhī dì ràng tā déyǐ shēngcún. chǔ zhuāng wáng jiàn zhèng xiāng gōng rúcǐ chéngkěn, biàn dāyìng le tā de qǐngqiú, ràng tā zài huāngliáng pínjí zhī dì gǒuyán cántuǎn. xiāoxī chuán dào zhèng guó hòu, bǎixìng dōu bēi tàn bù yǐ, gǎntàn zìjǐ wèilái de mìngyùn.

기원전 597년, 초장왕은 군대를 이끌고 정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켰습니다. 정襄공은 더 이상 승산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항복을 결심했습니다. 그는 영토를 할양하고 정나라 백성들을 초나라 노예로 바칠 것을 제안했지만, 초장왕에게 간청한 것은 겨우 척박한 땅을 남겨주고 살아남게 해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초장왕은 정襄공의 진심에 감명을 받고 그의 소원을 들어주어 황량한 불모지에서 살아남도록 허락했습니다. 이 소식은 정나라에 전해졌고, 백성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슬픔에 잠겼습니다.

Usage

多用于形容荒凉贫瘠的土地。

duō yòng yú xiáoróng huāngliáng pínjí de tǔdì

황량하고 척박한 토지를 묘사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Examples

  • 这片土地曾经是人烟稀少的不毛之地。

    zhè piàn tǔdì céngjīng shì rényān xīshǎo de bù máo zhī dì

    이 땅은 한때 불모지였습니다.

  • 经过几代人的努力,这片不毛之地终于变成了绿洲。

    jīngguò jǐ dài rén de nǔlì, zhè piàn bù máo zhī dì zhōngyú biàn chéng le lǜzhōu

    여러 세대의 노력 끝에 이 불모지는 마침내 오아시스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