鼎足而三 dǐng zú ér sān 세발솥

Explanation

比喻三方面对立的局势。也泛指三个方面。

세 세력이 대등하게 맞서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 일반적으로 세 가지 측면을 가리키기도 함.

Origin Story

话说战国时期,楚汉相争,天下大乱。刘邦、项羽、英布,这三方势力,各自拥兵自重,谁也不肯服谁,便形成了鼎足而三的局面。刘邦凭借其强大的军事实力和战略眼光,逐步削弱了项羽和英布的力量,最终统一了天下。这个故事告诉我们,虽然鼎足而三的局面看似均衡,但其中暗藏着巨大的变数,最终谁能胜出,取决于自身的综合实力和应对变局的能力。 后来项羽和刘邦继续争夺天下,最终刘邦胜出,建立了汉朝。但是,英布并没有就此罢休,而是趁机起兵造反,与刘邦展开了激烈的对抗。经过多次大战,刘邦最终平定了英布的叛乱,彻底结束了乱世,统一了全国。 这段历史也告诉我们,即使是强如项羽这样的英雄人物,在面对复杂的局势时,也可能因为战略失误或轻敌而失败。要想在乱世中取得成功,必须具备过人的智慧、勇猛的胆识和强大的实力。

shuō huà zhànguó shíqī, chǔ hàn xiāng zhēng, tiānxià dà luàn. liúbāng, xiàngyǔ, yīngbù, zhè sān fāng shìlì, gèzì yōngbīng zì zhòng, shuí yě bùkěn fú shuí, biàn xíngchéngle dǐng zú ér sān de júmiàn. liúbāng píngjí qí qiángdà de jūnshì shí lì hé zhànlüè yǎnguāng, zhúbù xuēruòle xiàngyǔ hé yīngbù de lìliàng, zuìzhōng tǒngyīle tiānxià.

전국 시대, 유방, 항우, 영포의 세 세력이 패권을 다투어 삼국지와 같은 3각 구도를 형성했습니다. 이는 '정족이삼'이라고 불리는 상황입니다. 초반에는 균형을 이루었지만, 유방은 뛰어난 전략과 군사력으로 점차 라이벌들을 약화시켜 결국 중국을 통일했습니다. 이는 3각 구도의 균형은 보기에는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내재적인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으며, 성공은 종합적인 힘과 적응력에 달려 있음을 보여줍니다.

Usage

用于比喻三方势力对峙的局面,也可泛指三个方面。

yongyu biju sanfang shili duizhi de ju mian, keye fanzhi san ge fangmian

세 세력이 대치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세 가지 측면을 가리키기도 함.

Examples

  • 三国时期,魏蜀吴三国鼎足而立,形成对峙局面。

    sanguoshiqi, wei shuwu sanguo dingzu erli, xingcheng duizhi ju mian.

    삼국 시대에 위, 촉, 오는 삼국지로 대립 구도를 형성했습니다.

  • 如今这三个公司在市场上鼎足而三,竞争异常激烈。

    rujin zhe san ge gongsi zai shichang shang dingzu er san, jingzheng yichang jilie

    현재 이 세 회사는 시장에서 3각 구도를 형성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