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局者迷 당주자미
Explanation
当局者迷,指当事人因为身处事件之中,难以看清事情的全貌,反而容易被局部情况迷惑,做出错误判断。
당주자미는 당사자가 사건에 휘말려 있기 때문에 사건의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고, 부분적인 상황에 현혹되어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Origin Story
唐朝时期,一位名叫魏征的官员以直言敢谏闻名,他曾多次向唐太宗进言,指出其过失。唐太宗虽然有时不悦,但最终受益良多,深感魏征的建议对自己治国理政有益。一次,唐太宗与大臣们议论治国方略,众说纷纭,莫衷一是。唐太宗询问魏征的看法,魏征却说:"陛下,此事臣以为当局者迷,旁观者清。"唐太宗不解,魏征解释说,身处其中的人往往被眼前的利益所迷惑,难以看清全局,而旁观者则可以较为客观地分析利弊,做出更准确的判断。唐太宗深以为然,并采纳了魏征的建议。这便是成语"当局者迷"的由来。
당나라 시대에 위정이라는 관리가 있는데, 그는 솔직하고 용감한 조언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종종 태종 황제에게 조언을 하고 그의 잘못을 지적했습니다. 태종 황제는 가끔 불쾌하게 생각했지만, 결국에는 큰 이익을 얻었고 위정의 제안이 통치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깊이 느꼈습니다. 어느 날, 태종 황제는 신하들과 국가 정책에 대해 논의했는데, 여러 의견이 있었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태종 황제는 위정의 의견을 물었지만, 위정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폐하,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당사자는 눈이 멀고 관찰자는 명확하게 본다고 생각합니다." 태종 황제는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위정은 당사자는 종종 눈앞의 이익에 현혹되어 전체 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관찰자는 객관적으로 장단점을 분석하고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태종 황제는 동의하고 위정의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이것이 "당주자미"라는 고사성어의 유래입니다.
Usage
常用来形容当事人因为自身局限而看不清形势,做出错误判断的情况。
당사자가 자신의 한계 때문에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当局者迷,看不清事情的真相。
tā dāngjú zhě mí, kàn bu qīng shìqíng de zhēnxiàng.
그는 너무 관여해서 진실을 볼 수 없습니다.
-
这件事,当局者迷,旁观者清。
zhè jiàn shì, dāngjú zhě mí, pángguān zhě qīng
이 문제에서 당사자는 눈이 멀었지만 관찰자는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