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斩后奏 선전후주
Explanation
原指臣子先把人处决了,然后再报告帝王。现比喻未经请示就先做了某事,造成既成事实,然后再向上级报告。
원래는 신하가 사람을 처형한 후에 임금에게 보고하는 것을 가리켰다. 현재는 허락 없이 어떤 일을 저지르고 既成事実을 만든 후에 상관에게 보고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靖的将军,他骁勇善战,深受唐太宗的赏识。一次,李靖奉命征讨突厥,在战场上遇到突厥大军。李靖见敌军势大,为了迅速取得胜利,决定先斩后奏,下令士兵们发起猛攻。结果,唐军大获全胜,李靖凯旋而归。唐太宗得知后,并未责怪李靖的擅作主张,反而赞赏了他的果断和胆识。从此,“先斩后奏”便成为人们津津乐道的典故,用来形容那些在紧急关头,果断决策,取得胜利的人。但是,现代社会,“先斩后奏”更多的是指在未经允许的情况下,先做了事情,然后再报告领导,这种做法通常不被提倡,容易造成不良后果。
당나라 시대에 이징이라는 용감한 장군이 있었다. 그는 태종 황제에게 높이 평가받았다. 어느 날, 이징은 돌궐을 정벌하라는 명령을 받고 전장에서 돌궐 대군과 조우했다. 적의 기세가 크다는 것을 본 이징은 신속하게 승리를 거두기 위해, 먼저 일을 처리하고 나중에 보고하기로 결정했다. 병사들에게 맹공격을 명령하자 당군은 대승을 거두었고, 이징은 개선하여 돌아왔다. 태종 황제는 이징의 독단적인 행동을 나무라기는커녕 그의 결단력과 용기를 칭찬했다. 이후 '선전후주'는 위급한 상황에서 과감한 결정을 내려 승리를 거둔 사람을 설명하는 고사가 되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선전후주'는 허락 없이 행동하고 나중에 상사에게 보고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행위는 권장되지 않는다.
Usage
用于形容未经请示就先做了某事,然后再向上级报告的行为。
사전 허가 없이 무언가를 한 후 상사에게 보고하는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Examples
-
将军一声令下,士兵们先斩后奏,迅速解决了敌军。
jiāngjūn yīshēng lìngxià, shìbīngmen xiān zhǎn hòu zòu, xùnsù jiějué le díjūn。
장군의 명령에 따라 병사들은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보고하여 적군을 신속히 제압했다.
-
他未经请示就擅自做主,事后才先斩后奏,结果被领导批评了一顿。
tā wèi jīng qǐngshì jiù shànzì zuòzhǔ, shìhòu cái xiān zhǎn hòu zòu, jiéguǒ bèi lǐngdǎo pīpíng le yīdùn。
그는 사전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행동하고 나서야 보고했기 때문에 상사에게 질책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