嗤之以鼻 chī zhī yǐ bí 비웃다

Explanation

用鼻子吭声冷笑,表示轻蔑。形容极端的不屑一顾。

코웃음을 치며 비웃어 경멸을 표현한다. 극도의 경멸을 나타내는 말.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白的才子,自视甚高,一日,他来到长安城,恰逢朝廷举行科举考试。李白不屑一顾,觉得这些试题太简单,根本不需要动笔。于是,他便在考场外高谈阔论,评点时事,对那些认真答题的考生嗤之以鼻,认为他们都是些迂腐之人。他的行为惹怒了考官,最终被逐出了考场。李白对此毫不在意,反而觉得朝廷识人不清,继续他放荡不羁的生活。后来,他凭借自己的才华,在诗歌领域取得了巨大的成就,名扬天下。然而,他始终怀有对世俗的傲慢与不屑,对那些他认为庸俗的人和事嗤之以鼻。这便是唐朝才子李白,一生傲骨,不畏权贵,用他特立独行的姿态,活出了自己洒脱的人生。

huà shuō táng cháo shí qī, yǒu gè míng jiào lǐ bái de cáizǐ, zì shì shèn gāo, yī rì, tā lái dào cháng ān chéng, qià féng cháoting jǔxíng kē jǔ kǎoshì. lǐ bái bù xiè yī gù, jué de zhèxiē shì tí tài jiǎndān, gēn běn bù xūyào dòng bǐ. yú shì, tā biàn zài kǎo chǎng wài gāo tán kuò lùn, píng diǎn shíshi, duì nàxiē rèn zhēn dá tí de kǎoshēng chī zhī yǐ bí, rèn wéi tāmen dōu shì xiē yū fǔ zhī rén. tā de xíngwéi rě nù le kǎoguān, zuì zhōng bèi zhú chū le kǎo chǎng. lǐ bái duì cǐ háo bù zàiyì, fǎn'ér jué de cháoting shí rén bù qīng, jìxù tā fàng dàng bù jī de shēnghuó. hòulái, tā píngjì zìjǐ de cáihua, zài shīgē lǐngyù qǔdé le jùdà de chéngjiù, míng yáng tiānxià. rán'ér, tā shǐ zhōng huái yǒu duì shìsú de ào màn yǔ bù xiè, duì nàxiē tā rènwéi yōngsú de rén hé shì chī zhī yǐ bí. zhè biàn shì táng cháo cáizǐ lǐ bái, yīshēng ào gǔ, bù wèi quán guì, yòng tā tè lì dúxíng de zī tài, huó chū le zìjǐ sǎ tuō de rénshēng.

탕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재능 있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을 매우 높이 평가했습니다. 어느 날, 그는 장안에 도착하여 우연히 과거 시험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이백은 시험 문제가 너무 쉬워서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며 시험을 경멸했습니다. 대신, 그는 시험장 밖에서 시사 문제에 대해 열변을 토하며 열심히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들을 편협하다고 조롱했습니다. 그의 행동은 시험관을 화나게 했고, 그는 시험장에서 쫓겨났습니다. 이백은 전혀 개의치 않았고, 조정이 인재를 알아보지 못한다고 생각하며 무심한 삶을 계속했습니다. 나중에 그의 재능은 시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그를 유명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세속적인 것에 대한 오만함과 경멸을 항상 유지하며, 자신이 속물이라고 생각하는 것들과 사람들을 늘 조롱했습니다. 이처럼 탕나라 학자 이백은 자존심이 강하고 권력자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비할 데 없는 자유로움으로 인생을 살았던 인물이었습니다。

Usage

表示轻蔑,不屑一顾。

biǎoshì qīngmiè, bù xiè yī gù

경멸이나 무시를 표현하다.

Examples

  • 他对专家的意见嗤之以鼻。

    tā duì zhuānjiā de yìjian chī zhī yǐ bí

    그는 전문가의 의견을 비웃었다.

  • 他对于那些落后的说法嗤之以鼻。

    tā duìyú nàxiē luòhòu de shuōfǎ chī zhī yǐ bí

    그는 그러한 구식 주장을 비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