敲诈勒索 갈취
Explanation
依仗权势或抓住别人的把柄,用威胁手段逼取财物。
권력이나 다른 사람의 약점을 이용하여 협박으로 재물을 갈취하는 행위
Origin Story
话说在明朝嘉靖年间,有一个贪婪的县令,名叫张知县,他每天都想着如何搜刮民脂民膏。他经常以各种理由盘剥百姓,甚至对一些穷苦人家也毫不留情。张知县有一次巡察到一个村庄,看到村里有一个老农家里有一些粮食,便上前敲诈勒索。老农苦苦哀求,说自己家中只有这些粮食,用来度过寒冬,张知县却置之不理,强行带走了老农大部分的粮食。老农无奈之下,只好含泪答应。张知县的所作所为很快传遍了整个县城,百姓们对他恨之入骨,却又无可奈何。后来,这个张知县最终受到了惩罚,被革职查办,他的恶行也成为了人们口口相传的反面教材。
명나라 가정 연간에 장이라는 탐욕스러운 현령이 있었다. 그는 매일 백성을 어떻게 수탈할지 고민했다. 그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백성들을 착취했고, 가난한 백성들에게도 자비를 베풀지 않았다. 어느 날 장이 마을을 순찰하던 중, 한 노인이 집에 곡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고 그에게서 곡식을 갈취했다. 노인은 간청하며 겨울을 나기 위한 곡식뿐이라고 호소했지만, 장은 무시하고 노인의 곡식 대부분을 강제로 빼앗았다. 노인은 어쩔 수 없이 눈물을 흘리며 승낙했다. 장의 행위는 곧 전국에 퍼지고 백성들은 그를 몹시 증오했지만,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후에 장은 마침내 처벌받고 파면되었고, 그의 악행은 후세에 전해지는 부정적인 교훈이 되었다.
Usage
作谓语、定语;指用威胁手段逼取财物
술어나 관형어로 쓰이며, 협박을 통해 재물을 갈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Examples
-
官府对百姓敲诈勒索,民不聊生。
guǎnfǔ duì bǎixìng qiāo zhà lè suǒ, mín bù liáo shēng
정부가 백성을 착취하여 백성들은 비참한 생활을 했다.
-
地主对佃户敲诈勒索,无恶不作。
dìzhǔ duì diànhù qiāo zhà lè suǒ, wú è bù zuò
지주가 소작농을 착취하여 온갖 악행을 저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