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之无物 빈말
Explanation
指说话或写文章空洞无物,没有实际内容。
말하거나 글을 쓸 때 내용이 없고 실질적인 내용이 없는 것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白的诗人,才华横溢,诗作无数。一日,皇帝召见,要他赋诗一首。李白欣然前往,却发现自己竟无诗兴。他绞尽脑汁,却只写出一些空洞无物的句子,词不达意,毫无新意。皇帝看后,不禁失望地摇摇头。此事传开后,人们便用“言之无物”来形容那些空洞无物的言辞。这个故事告诉我们,言辞必须有内涵,才能打动人心。
탕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재능 있는 시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셀 수 없이 많은 시를 지었습니다. 어느 날 황제에게 불려가 시를 지어야 했습니다. 이백은 기꺼이 갔지만, 시의 영감이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는 머리를 쥐어짰지만, 빈말만 써냈습니다. 말은 의미가 없었고, 독창성도 없었습니다. 황제는 그것을 읽고 실망하여 고개를 저었습니다. 그 이후로 “연지무물”이라는 말은 빈말을 표현할 때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마음을 감동시키는 말에는 내용이 필수적임을 가르쳐줍니다.
Usage
用于形容说话或写作空洞无物,缺乏实际内容。
말이나 글이 공허하고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한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Examples
-
他的发言言之无物,令人失望。
tā de fāyán yán zhī wú wù, lìng rén shīwàng
그의 연설은 내용이 없어서 실망스러웠다.
-
这篇论文言之无物,缺乏论据。
zhè piān lùnwén yán zhī wú wù, quēfá lùnjù
이 논문은 내용이 없고 근거가 부족하다.
-
会议上,他那番言之无物的讲话,让大家感到非常失望。
huìyì shàng, tā nà fān yán zhī wú wù de jiǎnghuà, ràng dàjiā gǎndào fēicháng shīwàng
회의에서 그의 내용 없는 발언은 모두를 매우 실망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