黄袍加身 황포가신(黃袍加身)
Explanation
黄袍加身,源于五代后周时期赵匡胤发动陈桥兵变的故事,指部下将黄袍披在赵匡胤身上,拥立他为皇帝。现比喻通过政变或其他非正常手段获得权力、成功。
황포가신(黃袍加身)은 오대십국 시대 조광윤의 진교병변(陳橋兵變) 이야기에서 유래한 관용구입니다. 신하들이 조광윤에게 황색 옷을 입히고 황제로 추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는 쿠데타나 다른 정규적인 방법이 아닌 수단으로 권력이나 성공을 얻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Origin Story
话说五代十国时期,天下大乱,战火纷飞。后周显帝年幼,朝中大臣互相倾轧,朝政混乱不堪。当时,赵匡胤是后周的殿前都点检,掌握着强大的禁军。960年,契丹入侵,赵匡胤奉命领兵北上抵抗。大军驻扎在陈桥驿,将士们对朝廷腐败不满,暗中策划拥立赵匡胤为帝。当夜,将士们偷偷地从军营中取出一件黄色的龙袍,披在赵匡胤身上,高呼“万岁”。赵匡胤起初还有些犹豫,但见大势已成,便顺水推舟,接受了将士们的拥立。他率领大军南下,一路势如破竹,很快平定了各路割据势力,建立了宋朝,开启了中国历史上一个新的篇章。从此,“黄袍加身”便成为一个成语,用来比喻通过非常手段取得成功,或指发动政变获得成功。
오대십국 시대, 나라는 혼란에 빠져 있었습니다. 후주(後周)의 어린 황제는 아직 어렸고, 조정 신료들은 권력을 놓고 다투어 큰 정치적 혼란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후주의 금군(禁軍) 지휘관이었던 조광윤(趙匡胤)은 강력한 군대를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960년, 거란(契丹)이 침략하자 조광윤은 북쪽으로 가서 저항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군대는 진교(陳橋)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병사들은 부패한 정부에 불만을 품고 몰래 조광윤을 황제로 추대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날 밤, 병사들은 야영지에서 몰래 황색 황제의 옷을 가져와 조광윤에게 입히고 만세를 외쳤습니다. 조광윤은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상황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에 따라 병사들의 지지를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군대를 남쪽으로 이끌고 여러 분리주의 세력을 정복하고 곧 송나라를 건국하여 중국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그 이후로 “황포가신(黃袍加身)”은 특별한 방법으로 성공을 거두었거나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일으킨 것을 표현하는 관용구가 되었습니다.
Usage
主要用于比喻通过政变或其他非常手段获得成功,或指突然得势。
주로 쿠데타나 기타 비상한 수단을 통해 성공을 거두었거나 갑자기 권력을 얻게 된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这次成功完全是意外之喜,简直是黄袍加身。
tā zhè cì chénggōng wánquán shì yìwài zhī xǐ, jiǎnzhí shì huáng páo jiā shēn
이번 그의 성공은 마치 갑작스러운 대관식과 같은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
经过一番努力,他终于黄袍加身,成为公司老总。
jīngguò yī fān nǔlì, tā zhōngyú huáng páo jiā shēn, chéngwéi gōngsī lǎozǒng
많은 노력 끝에 그는 마침내 회사 사장이 되었는데, 예상치 못한 승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