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身不遂 bàn shēn bù suí 반신불수

Explanation

半身不遂指身体的一半不能活动,通常由中风或其他神经系统疾病引起。有时也比喻作品或计划等不完整、不协调。

반신불수는 신체의 절반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일반적으로 뇌졸중이나 기타 신경계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때로는 작품이나 계획 등이 불완전하고 조화롭지 못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叫李白的诗人,他不仅诗才出众,而且身体强健。一日,李白与友人游山玩水,不料途中突发疾病,导致半身不遂。这消息传遍长安城,文人墨客无不扼腕叹息。李白卧床不起,但仍坚持创作,用他仅能活动的那只手执笔,写出了许多感人肺腑的诗篇。这些作品字里行间都流露出他对生命的热爱和不屈不挠的精神,为后世留下了宝贵的精神财富。而这次疾病的经历也让他对人生有了更深刻的感悟,他的诗歌更加成熟,更加富有哲理。

huì shuō táng cháo shí qī, yǒu gè jiào lǐ bái de shī rén, tā bù jǐn shī cái chū zhòng, ér qiě shēn tǐ qiáng jiàn. yī rì, lǐ bái yǔ yǒu rén yóu shān wán shuǐ, bù liào tú zhōng tū fā jí bìng, dǎo zhì bàn shēn bù suí. zhè xiāo xī chuán biàn cháng ān chéng, wén rén mò kè wú bù è wàn tàn xī. lǐ bái wò chuáng bù qǐ, dàn réng jiān chí chuàng zuò, yòng tā jǐ néng huó dòng de nà zhī shǒu zhí bǐ, xiě chū le xǔ duō gǎn rén fèi fǔ de shī piān. zhè xiē zuò pǐn zì lǐ háng jiān dōu liú lù chū tā duì shēng mìng de rè ài hé bù qū bù náo de jīng shén, wèi hòu shì liú xià le bǎo guì de jīng shén cái fù. ér zhè cì jí bìng de jīng lì yě ràng tā duì rén shēng yǒu le gèng shēn kè de gǎn wù, tā de shī gē gèng jiā chéng shú, gèng jiā fù yǒu zhé lǐ.

중국의 당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재능 외에도 건강한 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산과 강으로 여행 중 갑자기 병이 들었고, 반신불수가 되었습니다. 이 소식은 장안 수도에 빠르게 퍼져 많은 문인들이 슬픔에 잠겼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백은 누워 지내면서도 창작을 계속했고, 아직 움직일 수 있는 한 손으로 붓을 들고 많은 감동적인 시를 썼습니다. 그 시들에는 그의 삶에 대한 애정과 흔들리지 않는 정신이 반영되어 있으며, 세상에 매우 귀중한 정신적 풍요를 남겼습니다. 이 경험은 그의 삶에 대한 관점을 성숙하게 만들었고, 그의 시는 더욱 깊이와 철학성을 띠게 되었습니다.

Usage

主要用于形容身体状况,也可以比喻作品或计划不完整,不协调。

zhǔ yào yòng yú xíng róng shēn tǐ zhuàng kuàng, yě kě yǐ bǐ yù zuò pǐn huò jì huà bù wán zhěng, bù xié xiào.

주로 신체 상태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작품이나 계획이 불완전하고 조화롭지 못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에도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中风后半身不遂,生活不能自理。

    tā zhòng fēng hòu bàn shēn bù suí, shēng huó bù néng zì lǐ

    그는 뇌졸중 후 반신불수가 되어 자기 몸조차 돌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 这场比赛,他的发挥很不稳定,真是半身不遂啊!

    zhè chǎng bǐ sài, tā de fā huī hěn bù wěn dìng, zhēn shì bàn shēn bù suí a!

    이 경기에서 그의 활약은 매우 불안정했습니다. 마치 반신불수인 것 같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