奴颜媚骨 비굴하고 아첨하는
Explanation
形容卑鄙无耻地奉承别人,缺乏骨气和气节。
비열하고 뻔뻔하게 남에게 아첨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기개와 절개가 없음을 나타낸다.
Origin Story
话说清朝时期,有个名叫李福的年轻书生,怀揣着满腔抱负来到京城参加科举考试。然而,命运弄人,他屡试不第。一次,李福在茶馆偶遇一位权倾朝野的大臣,此人名叫赵大人。赵大人见李福相貌清秀,便与其攀谈起来。赵大人询问李福的来意,李福便将自己屡试不第的遭遇和满腹才华无处施展的苦闷一股脑儿地倾诉出来。赵大人听后,不仅没有给予他同情和鼓励,反而摆出一副高高在上的姿态,言语轻蔑地嘲笑李福的才华平庸。李福为了博得赵大人的好感,开始对赵大人阿谀奉承,点头哈腰。他那奴颜媚骨的样子,让赵大人感到十分厌恶。最终,李福不仅没有得到赵大人的帮助,反而被其厌恶,科举之路更加坎坷。这个故事说明了,即使有才能,也不能靠奴颜媚骨来获得成功,只有保持独立的人格和气节,才能赢得别人的尊重。
청나라 시대, 이복이라는 젊은 선비가 과거 시험을 보겠다는 큰 포부를 품고 수도로 왔습니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으로 여러 번 시험에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어느 날 이복은 우연히 조대인이라는 권력자 대신을 다방에서 만나게 됩니다. 조대인은 이복의 용모가 우아하다고 느끼고 그와 대화를 나눕니다. 조대인은 이복의 의도를 묻고, 이복은 시험에서 여러 번 떨어졌던 일과 자신의 재능을 펼칠 곳이 없다는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 하지만 조대인은 동정이나 격려는커녕 거만한 태도로 이복의 재능을 평범하다고 비웃었습니다. 조대인의 호감을 얻기 위해 이복은 조대인에게 아첨하며 머리를 조아리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비굴한 태도는 조대인을 질리게 만들었습니다. 결국 이복은 조대인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은커녕 오히려 미움을 받게 되고, 과거의 길은 더욱 험난해졌습니다. 이 이야기는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비굴한 태도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독립적인 인격과 절개를 지킴으로써만 다른 사람들의 존경을 얻을 수 있습니다.
Usage
用于形容人卑鄙无耻地奉承他人。
비굴하고 뻔뻔하게 남에게 아첨하는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Examples
-
他那奴颜媚骨的样子,令人作呕。
tā nà nú yán mèi gǔ de yàngzi, lìng rén zuò'ǒu。
그의 비굴하고 아첨하는 모습은 메스껍다.
-
他虽然有才能,但为人奴颜媚骨,很难得到重用。
tā suīrán yǒu cáinéng, dàn wéi rén nú yán mèi gǔ, hěn nán de dào chóng yòng。
그는 재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굴한 성격 때문에 승진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