闭关锁国 쇄국
Explanation
闭关锁国是指一个国家关闭对外贸易和外交往来,实行封闭政策。这种政策往往会导致经济落后和国际孤立。
쇄국은 한 국가가 대외 무역과 외교 교류를 차단하고 폐쇄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책은 흔히 경제적 후진성과 국제적 고립으로 이어진다.
Origin Story
话说清朝乾隆年间,大清国力强盛,皇帝自诩为天朝上国,认为万国来朝是理所当然。一些大臣也盲目乐观,他们认为外国商品粗制滥造,根本无需引进,而中国的丝绸、茶叶等商品在世界各地都非常畅销,因此无需与外界进行贸易往来。于是,他们纷纷建议皇帝实行闭关锁国政策,禁止与外国进行任何形式的贸易和交流。然而,这种闭关锁国的政策最终导致了中国与世界脱节,错失了近代工业革命带来的机遇,也为后来西方列强的入侵埋下了伏笔。
청나라 건륭 연간, 청나라는 국력이 강성하여 황제는 스스로 천조상국이라 자칭하며 만국이 조공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일부 신하들도 맹목적으로 낙관적이어서 외국 상품은 질이 떨어지므로 수입할 필요가 없다고 믿었고, 반면 중국의 비단, 차 등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았기에 외국과의 무역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황제에게 쇄국정책을 시행하여 외국과의 모든 형태의 무역과 교류를 금지하도록 건의했다. 그러나 이 쇄국정책은 결국 중국이 세계로부터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근대 산업혁명의 기회를 놓치게 했고,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의 빌미가 되었다.
Usage
主要用于形容国家政策,也可用于比喻个人或组织保守、不与外界交流的状态。
주로 국가 정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개인이나 단체가 보수적이고 외부와의 소통을 하지 않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Examples
-
明朝末年,闭关锁国政策导致了国家经济的停滞。
Míng cháo mò nián, bì guān suǒ guó zhèngcè dǎozhì le guójiā jīngjì de tíngzhì.
명나라 말년, 쇄국정책으로 인해 국가 경제가 침체되었다.
-
清朝统治者长期奉行闭关锁国,最终错失了与世界接轨的机会。
Qīng cháo tǒngzhì zhě chángqī fèngxíng bì guān suǒ guó, zuìzhōng cuòshī le yǔ shìjiè jiēguǐ de jīhuì
청나라 통치자들은 오랫동안 쇄국정책을 고수하여 결국 세계와 소통할 기회를 놓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