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览无余 일람무여
Explanation
这个成语用来形容视野开阔,所有景物都尽收眼底,一目了然。也用来形容建筑物结构简单,没有曲折变化,或诗文内容平淡,没有回味。
이 고사성어는 시야가 넓어 모든 사물이 눈에 들어오고 한눈에 알 수 있다는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건축물의 구조가 단순하고 굴곡이 없거나, 시나 산문의 내용이 평범하고 여운이 없다는 것을 묘사할 때도 사용됩니다.
Origin Story
唐朝时期,诗人王维在终南山隐居,过着闲云野鹤的生活。有一天,他登上山顶,放眼望去,只见云雾缭绕,山川秀丽,田野广阔,河流蜿蜒。王维被这美丽的景色所吸引,心中感慨万千,于是便写下了著名的诗句:“山居秋暝,清泉石上流。竹喧归浣女,莲动下渔舟。随意春芳歇,王孙自可留。莫辞酒味薄,恐是酒醒时。”诗中的“一览无余”,便是用来形容王维站在山顶上,将眼前的壮丽景色尽收眼底。
당나라 시대에 시인 왕유는 종남산에 은거하여 한가롭게 살았습니다. 어느 날, 그는 산 정상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니, 구름과 안개가 산을 휘감고 있고, 산은 아름답고, 들판은 넓고, 강은 구불구불하게 흐르고 있었습니다. 왕유는 이 아름다운 풍경에 매료되어 가슴속에 많은 감회가 일었고, 유명한 시구를 남겼습니다. “산거추명, 청천석상류. 죽훤귀완녀, 연동하어주. 수의춘방歇, 왕손자거류. 막사주미박, 공시주성시.” 이 시의 “일람무여”는 왕유가 산 정상에 서서 눈앞의 장엄한 풍경을 모두 바라본 모습을 묘사합니다.
Usage
这个成语常用于形容视野开阔,所有事物都尽收眼底,一目了然。也可以用于形容事物结构简单,没有曲折变化,或内容平淡,没有回味。
이 고사성어는 시야가 넓어 모든 사물이 눈에 들어오고 한눈에 알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사물의 구조가 단순하고 굴곡이 없거나, 내용이 평범하고 여운이 없다는 것을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Examples
-
站在山顶,极目远眺,田野、河流尽收眼底,一览无余。
zhàn zài shān dǐng, jí mù yuǎn tiào, tián yě, hé liú jìn shōu yǎn dǐ, yī lǎn wú yú.
산 정상에 서서 멀리 바라보니 들판과 강이 모두 한눈에 들어온다. 시야가 확 트였다.
-
他的计划书写得很详细,把所有问题都考虑到了,一览无余。
tā de jì huà shū xiě de hěn xiáng xì, bǎ suǒ yǒu wèn tí dōu kǎo lǜ dào le, yī lǎn wú yú.
그의 프로젝트 제안서는 매우 상세하게 작성되어 모든 문제가 고려되어 있어 명확하다.
-
这幅画的构图简洁明快,一览无余,让人一目了然。
zhè fú huà de gòu tú jiǎn jié míng kuài, yī lǎn wú yú, ràng rén yī mù liǎo rán.
이 그림의 구도는 간결하고 시원하며, 모든 것이 한눈에 들어와 이해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