丢盔弃甲 투구와 갑옷을 버리다
Explanation
形容军队战败溃逃的狼狈景象。也比喻因失败而非常狼狈。
군대가 패배하여 도망치는 비참한 모습을 묘사한다. 또한 실패로 인해 매우 당황스러운 상태를 나타낸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大将魏延率军攻打魏国,初战告捷,魏军损失惨重。然而,魏延过于轻敌,没有做好充分的准备,被魏军反扑,蜀军节节败退。战况急转直下,魏延的军队被打得丢盔弃甲,四处逃窜,魏延本人也险些被俘。这次惨败,不仅损失了大量的兵力,更重要的是损害了蜀军的士气和声望。事后,诸葛亮痛心疾首,责备魏延过于轻敌,没有考虑周全。魏延也认识到自己的错误,痛改前非。这次惨痛的教训,让蜀汉军队吸取了经验,以后在作战中更加谨慎小心,避免了类似的错误重演。从此,丢盔弃甲这个成语便流传下来,用来形容军队战败溃逃的狼狈景象。
삼국시대에 촉한의 장군 위연은 위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었다. 첫 전투에서 승리하여 위나라 군대는 큰 손실을 입었다. 하지만 위연은 적을 과소평가하고 충분한 준비를 하지 않았다. 위나라 군대가 반격하자 촉나라 군대는 한 걸음씩 후퇴했다. 전투 상황은 급속도로 바뀌었고, 위연의 군대는 패배하여 병사들은 투구와 갑옷을 버리고 혼란 속에서 후퇴했다. 위연 자신도 간신히 포로가 되는 것을 면했다. 이 압도적인 패배는 많은 병력 손실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촉나라 군대의 사기와 명성을 심각하게 손상시켰다. 그 후 제갈량은 위연의 과신과 준비 부족을 한탄했다. 위연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깊이 후회했다. 이 뼈아픈 경험은 촉한 군대에게 귀중한 교훈을 주었다. 미래의 전투에서는 더욱 신중해졌고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았다.
Usage
多用于形容军队战败溃逃的狼狈情景,也可比喻因失败而非常狼狈。
주로 군대가 패배하여 도망치는 곤란한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지만, 실패로 인해 매우 당황스러운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Examples
-
面对强敌的进攻,他们丢盔弃甲,仓皇逃窜。
miànduì qiángdí de jīngōng, tāmen diū kuī qì jiǎ, cānghuáng táocuàn。
강적의 공격에 맞서 그들은 투구와 갑옷을 버리고 허둥지둥 도망쳤다.
-
在激烈的市场竞争中,这家公司丢盔弃甲,最终破产倒闭。
zài jīliè de shìchǎng jìngzhēng zhōng, zhè jiā gōngsī diū kuī qì jiǎ, zuìzhōng pòchǎn dǎobì。
격렬한 시장 경쟁에서 그 회사는 모든 것을 잃고 결국 파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