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诛笔伐 kǒu zhū bǐ fá 말과 글로 비난하다

Explanation

这个成语形容对人或事的公开批评和声讨。

이 관용어는 사람이나 사건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과 비난을 묘사합니다.

Origin Story

战国时期,著名的政治家、思想家墨子,因为主张“兼爱非攻”,反对战争,遭到许多人的反对。其中,有一位名叫公孙龙的辩论家,为了抬高自己的名声,故意在公众场合用各种诡辩的方式攻击墨子的思想,企图抹黑他的主张。面对公孙龙的无理攻击,墨子并没有畏惧,而是用他深厚的学识和辩论技巧,巧妙地驳斥了公孙龙的歪理邪说,最终赢得了人们的认可。这件事后来就成了“口诛笔伐”的典故,用来比喻用言语和文字对错误言行进行揭露和批判。

zhàn guó shí qī, jù míng de zhèng zhì jiā, sī xiǎng jiā mò zǐ, yīn wèi zhǔ zhāng

전국 시대, 유명한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묵자는 '겸애비공'을 주장하며 전쟁에 반대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그 중 공손룡이라는 논객은 자신의 명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러 공개적인 자리에서 묵자의 사상을 온갖 궤변으로 공격하며 그의 주장을 폄하하려 했습니다. 공손룡의 불합리한 공격에 맞서 묵자는 두려워하지 않고, 깊은 학식과 논변 실력으로 공손룡의 왜곡된 논리를 교묘하게 반박하여 결국 사람들의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후에 '구주필벌'의 고사가 되었고, 말과 글을 사용하여 잘못된 언행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Usage

在新闻报道、评论文章、演讲等场合中,经常可以见到“口诛笔伐”这个成语,用来表达对社会上一些不良现象的批评和声讨。例如,在报道某些腐败官员的案件时,人们往往会用“口诛笔伐”来形容公众对他们的谴责和愤怒。

zài xīn wén bào dǎo, píng lùn wén zhāng, yǎn jiǎng děng chǎng hé zhōng, jīng cháng kě yǐ jiàn dào

뉴스 보도, 해설, 연설 등에서 사회의 부정적인 현상에 대한 비판과 비난을 표현할 때 '구주필벌'이라는 관용어가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부패한 공무원의 사건을 보도할 때, 사람들은 '구주필벌'을 사용하여 여론의 비난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xamples

  • 他利用职权,贪污受贿,最终受到了法律的制裁,真是活该被口诛笔伐!

    tā lì yòng zhí quán, tān wū shòu huì, zuì zhōng shòu dào le fǎ lǜ de zhì cái, zhēn shì huó gāi bèi kǒu zhū bǐ fá!

    그는 권력을 이용하여 뇌물을 받았고 결국 법의 심판을 받았습니다. 말과 글로 비난받는 것은 당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