哀兵必胜 āi bīng bì shèng 애병필승

Explanation

指处于悲愤、正义、绝望等情绪中的军队,由于其士气高涨,战斗力强,往往能战胜敌人。

슬픔, 정의, 절망 등의 감정을 가진 군대를 가리키며, 사기가 고양되고 전투력이 강하기 때문에 종종 적을 물리친다.

Origin Story

战国时期,燕国与齐国交战,燕国屡战屡败,士气低落。太子丹派荆轲刺秦王,虽然刺杀失败,但此举却激起了燕国人民的悲愤之情,他们团结一心,决心与齐国决一死战。最终,凭借着这股“哀兵”之势,燕国反败为胜,重创齐军。这段历史也成为了“哀兵必胜”的典型例证,说明了在正义和悲愤的驱使下,即使是处于劣势的军队,也能爆发出惊人的力量。

zhànguó shíqí, yàn guó yǔ qí guó jiāo zhàn, yàn guó lǚ zhàn lǚ bài, shì qì dī luò. tàizǐ dān pài jīng kē cì qín wáng, suīrán cì shā shībài, dàn cǐ jǔ què jī qǐ le yàn guó rénmín de bēi fèn zhī qíng, tāmen tuánjié yīxīn, juéxīn yǔ qí guó jué yī sǐ zhàn. zuìzhōng, píngjiè zhe gǔ “āi bīng” zhī shì, yàn guó fǎn bài wéi shèng, chóng chuàng qí jūn. zhè duàn lìshǐ yě chéng le “āi bīng bì shèng” de diǎnxíng lì zhèng, shuōmíng le zài zhèngyì hé bēi fèn de qūsǐ xià, jíshǐ shì chǔ yú lièshì de jūnduì, yě néng bàofā chū jīngrén de lìliang.

전국시대에 연나라와 제나라가 전쟁을 벌였는데, 연나라는 계속 패배하여 사기가 저하되었다. 태자 단은 경객을 보내 秦나라 왕을 암살하려 했으나, 암살은 실패했지만 이 사건은 연나라 백성들의 분노와 슬픔을 불러일으켰고, 그들은 단결하여 제나라와 죽기 살기로 싸우기로 결심했다. 결국 이러한 ‘애병’의 기세를 빌려 연나라는 패배를 승리로 바꾸었고, 제나라 군대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 이 역사는 ‘애병필승’의 전형적인 예시로서 ‘정의’와 ‘슬픔’에 몰린 군대라도 놀라운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Usage

常用于形容军队,也可以引申到其他领域,比喻处于劣势但充满正义感和悲愤情绪的一方最终会取得胜利。

cháng yòng yú xíngróng jūnduì, yě kěyǐ yǐnshēn dào qítā lǐngyù, bǐyù chǔ yú lièshì dàn chōngmǎn zhèngyì gǎn hé bēi fèn qíngxù de yī fāng zuìzhōng huì qǔdé shènglì.

군대를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되지만 다른 영역으로 확장할 수도 있으며, 불리한 입장에 있지만 정의감과 분노에 찬 감정으로 가득 차서 결국 승리하는 쪽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Examples

  • 面对强敌,他们士气高昂,仿佛一支哀兵,最终取得了胜利。

    miàn duì qiáng dí, tāmen shì qì gāo áng, fǎng fú yī zhī āi bīng, zuì zhōng qǔ dé le shèng lì.

    강적을 맞닥뜨려도 사기가 높아 슬픈 군대처럼 결국 승리를 거두었다.

  • 历史上,许多看似弱小的军队,凭借着悲壮的气势,取得了以弱胜强的战役。

    lìshǐ shàng, xǔ duō kànshì ruò xiǎo de jūnduì, píngjiè zhe bēi zhuàng de qìshì, qǔdé le yǐ ruò shèng qiáng de zhànyì

    역사적으로, 얼핏 보기에 약한 군대가 비장한 기세로 약소가 강대를 이긴 전투를 수행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