骄兵必败 교병필패
Explanation
指骄傲的军队必然会失败。形容军队骄傲轻敌必将失败。
교만한 군대는 반드시 패배한다는 뜻이다. 군대의 교만함과 적을 과소평가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패배를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rigin Story
西汉时期,汉宣帝刘洵派郑吉率军攻打匈奴,并在车师附近屯田与驻军。匈奴举兵反击。汉宣帝召集群臣商议,丞相魏相不主张增兵,仗着国大人多就会成为骄横的军队,军队骄横必定灭亡。汉宣帝决定不再派兵攻打匈奴,避免了骄兵必败的结局。几十年后,汉朝的国力日渐强盛,匈奴也逐渐衰弱,在与匈奴的战争中,汉朝取得了辉煌的胜利,这都得益于汉宣帝的英明决策。这段历史也成为了后世“骄兵必败”的典型案例,告诫人们要居安思危,切勿骄傲轻敌。
서한 시대, 宣帝 유순은 정길에게 군대를 이끌고 흉노를 공격하게 하고 차사 근처에 둔전을 설치하고 주둔시켰다. 흉노는 군사를 일으켜 반격해왔다. 宣帝는 여러 신하들을 불러 모아 협의했는데, 승상 위상은 증원에 반대하며 나라가 크고 사람이 많으면 교만한 군대가 되고, 교만한 군대는 반드시 멸망한다고 주장했다. 宣帝는 흉노 원정을 중단하여 교병필패의 결과를 피했다. 수십 년 후, 한나라의 국력은 점점 강해지고 흉노는 점점 약해졌다. 흉노와의 전쟁에서 한나라는 눈부신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는 모두 宣帝의 현명한 결정 덕분이다. 이 역사는 후세의 ‘교병필패’의 전형적인 사례가 되어 사람들에게 평안한 가운데 위험을 잊지 말고, 결코 교만하지 않고 적을 얕보지 않고 항상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Usage
常用来形容军队骄傲轻敌,最终会失败。也用来比喻人骄傲自满必然会失败。
군대가 교만하여 적을 과소평가하여 결국 패배하는 것을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또한 교만과 자만이 필연적으로 실패로 이어짐을 보여주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Examples
-
这支军队骄兵必败,最终还是落败了。
zhè zhī jūnduì jiāobīng bì bài, zuìzhōng háishì luòbài le.
이 군대는 교병필패로 결국 패배했다.
-
历史证明,骄兵必败,恃强凌弱终将自食其果。
lìshǐ zhèngmíng, jiāobīng bì bài, shìqiáng língruò zhōngjiāng zìshí qí guǒ.
역사는 증명하듯 교만한 군대는 반드시 패배하며 강자를 믿고 약자를 짓밟는 자는 결국 자멸할 운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