嗟来之食 모욕적인 구걸
Explanation
指带有侮辱性的施舍。比喻即使是施舍,也不愿接受带有侮辱性的东西。
모욕적인 구걸을 가리킨다. 비록 구걸이라 할지라도 모욕적인 것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다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Origin Story
春秋时期,齐国发生严重的饥荒,许多人饿死街头。贵族钱敖为了显示自己的仁慈,在大路上摆放食物施舍给饥饿的百姓。当一位衣衫褴褛的饥民走过时,钱敖傲慢地喊道:"喂,来吃吧!"饥民看了一眼钱敖轻蔑的眼神和堆放在地上的食物,他宁死也不愿接受这份带有侮辱性的施舍,毅然决然地离开了。他明白,即使是救命的食物,如果带着侮辱,也比死亡更让人难以忍受。这个故事后来就演变成了成语"嗟来之食",用来形容带有侮辱性的施舍,以及人们对于尊严的坚守。
춘추시대에 제나라에 심각한 기근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이 길에서 굶어 죽었다. 자비심을 보이기 위해 귀족 전오는 길에 음식을 놓아 굶주린 사람들에게 구걸을 했다. 누더기 옷을 입은 거지가 지나가자 전오는 거만하게 소리쳤다. "이봐, 먹어!" 거지는 전오의 경멸적인 시선과 땅에 쌓인 음식을 보고 이러한 모욕적인 구걸을 받아들이느니 차라리 굶어 죽겠다고 결심했다. 그는 비록 목숨을 구하는 음식이라도 모욕을 동반한다면 죽음보다 더 견딜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했다. 이 이야기는 후에 "嗟来之食"이라는 관용구가 되어 모욕적인 구걸과 사람들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을 나타내게 되었다.
Usage
用来形容带有侮辱性的施舍,以及人们对于尊严的坚守。
모욕적인 구걸과 사람들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Examples
-
他宁愿饿死,也不吃嗟来之食。
tā níngyuàn è sǐ, yě bù chī jiē lái zhī shí
그는 차라리 굶어 죽더라도 업신여기며 주는 음식은 먹지 않겠다고 했다.
-
面对施舍者居高临下的态度,他选择了拒绝嗟来之食。
miànduì shīshě zhě jū gāo lín xià de tàidu, tā xuǎnzé le jùjué jiē lái zhī shí
주는 사람의 깔보는 태도에 맞닥뜨려 그는 구걸하는 음식을 거절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