短兵相接 백병전
Explanation
指双方短兵相接,激烈搏斗。也比喻双方直接对抗,展开激烈斗争。
양측이 근접전을 벌여 치열하게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양측이 직접 대결하여 격렬한 투쟁을 벌이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도 사용된다.
Origin Story
公元前279年,秦军攻破赵都邯郸,赵国危在旦夕。廉颇率领赵军顽强抵抗,秦军久攻不下。双方在邯郸城下短兵相接,展开了一场激烈的战斗。赵军将士奋勇杀敌,与秦军浴血奋战,战斗异常惨烈。秦军虽然人数众多,装备精良,但在赵军的顽强抵抗下,也损失惨重。最终,秦军无力继续进攻,被迫撤兵。这场战斗,赵军以寡敌众,取得了辉煌的胜利,也充分展现了赵军将士的英勇无畏和不怕牺牲的精神。这场短兵相接的战斗,成为了中国历史上著名的以弱胜强的经典战例,也激励着一代又一代的中国人。
기원전 279년, 진나라 군대는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함락시켰고, 조나라는 멸망 직전에 놓였다. 염포는 조나라 군대를 이끌고 끈질기게 저항했고, 진나라 군대는 장기간 동안 함락시킬 수 없었다. 양측은 한단 성 밖에서 백병전을 벌이며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조나라 군인들은 용감하게 싸웠고, 진나라 군대와 피비린내 나는 전투를 벌였다. 전투는 매우 치열했다. 진나라 군대는 병력도 많고 장비도 우수했지만, 조나라 군대의 완강한 저항 앞에 큰 피해를 입었다. 결국 진나라 군대는 공격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철군할 수밖에 없었다. 이 전투에서 조나라 군대는 소수로 다수를 상대로 눈부신 승리를 거두었고, 조나라 군인들의 용감함과 희생을 두려워하지 않는 정신을 보여주었다. 이 백병전은 중국 역사상 약자가 강자를 이긴 유명한 전투 사례가 되었고, 여러 세대에 걸쳐 중국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Usage
常用于描写战争场景,也可用以形容激烈的竞争或斗争。
전쟁 장면을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치열한 경쟁이나 투쟁을 표현할 때에도 사용된다.
Examples
-
两军短兵相接,厮杀声震耳欲聋。
liǎng jūn duǎn bīng xiāng jiē, sī shā shēng zhèn ěr yú lóng
두 군대가 백병전을 벌였고, 싸우는 소리가 귀청이 떨어질 듯했다.
-
谈判破裂,双方短兵相接,展开激烈的竞争。
tán pán pò liè, shuāng fāng duǎn bīng xiāng jiē, zhǎn kāi jī liè de jìng zhēng
협상이 결렬되자 양측은 백병전을 벌이며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