荒山野岭 황량한 산야
Explanation
形容荒凉无人烟的山野地区。
인적이 드문 황량한 산야 지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一位名叫李白的诗人,因不满朝中腐败,弃官隐居。一日,他漫步于山间,迷失了方向,不觉来到一片荒山野岭之中。此处人烟稀少,鸟兽罕至,只有茂密的树林和崎岖的山路。李白心中虽有几分担忧,但诗兴大发,便以这荒凉的景色为题,写下了一首千古绝句。他一边吟诵,一边欣赏着周围的景致,心中充满了对自然的敬畏和赞叹。夕阳西下,李白终于走出了这片荒山野岭,回到了人迹繁多的村庄。这次经历让他更加深刻地体会到了世外桃源的宁静与美好,也让他对大自然的壮阔与神秘有了更深的理解。
당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시인이 있었는데, 그는 조정의 부패에 불만을 품고 벼슬을 버리고 은거 생활을 했습니다. 어느 날 산길을 걷다 길을 잃고 황량한 산야에 이르렀습니다. 그곳은 사람의 그림자도 드물고, 새나 짐승도 거의 보이지 않고, 울창한 숲과 험준한 산길만이 펼쳐져 있었습니다. 이백은 다소 불안한 마음을 가지면서도, 시재가 솟구쳐 오르고, 그 황량한 풍경을 소재로 불후의 명작을 지었습니다. 시를 낭송하며 주변의 풍경을 감상하고, 자연에 대한 경외감과 찬탄의 마음으로 가득 찼습니다. 해가 저물 무렵, 이백은 마침내 황산야령을 빠져나와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마을로 돌아왔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그는 속세를 떠난 고요와 아름다움, 그리고 대자연의 장대함과 신비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Usage
多用于描写偏远、荒凉的地方。
외딴 황량한 장소를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Examples
-
那座山峰地处荒山野岭,人迹罕至。
nà zuò shānfēng dì chù huāngshān yěliǎng, rénjì hǎnzhì
그 산봉우리는 외딴 황량한 지역에 있습니다.
-
他们跋山涉水,最终穿越了荒山野岭。
tāmen báshān shèshuǐ, zuìzhōng chuānyuè le huāngshān yěliǎng
그들은 산과 강을 헤치고 결국 황량한 산야를 건넜습니다.
-
这条路通往荒山野岭,很少有人走。
zhè tiáo lù tōng wǎng huāngshān yěliǎng, hěn shǎo yǒurén zǒu
이 길은 사람이 거의 다니지 않는 황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