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驴非马 Fēi lǘ fēi mǎ 말도 아니고 당나귀도 아닌

Explanation

比喻不伦不类,像驴不像驴,像马不像马,什么也不是。

말도 아니고 당나귀도 아닌 것처럼, 어떤 것에도 속하지 않는 모양.

Origin Story

汉朝时,西域龟兹国国王绛宾多次访问汉朝,回国后推行汉制,引起臣民不满。有人说他推行的政策像骡子一样,非驴非马,不伦不类。这反映了文化融合过程中可能出现的冲突和问题,也说明了盲目照搬照抄而不结合实际情况的弊端。故事中,龟兹王推行的汉制,在龟兹人看来,是既不符合他们本来的生活习惯,也不符合汉朝的实际情况,所以显得“非驴非马”。这就好比把驴和马杂交,生下来的骡子既不像驴,也不像马。

hàn cháo shí, xī yù guīzī guó wáng jiàng bīn duō cì fǎngwèn hàn cháo, huí guó hòu tuīxíng hàn zhì, yǐn qǐ chénmín bùmǎn. yǒu rén shuō tā tuīxíng de zhèngcè xiàng luózi yīyàng, fēi lǘ fēi mǎ, bù lún bù lèi. zhè fǎnyìng le wénhuà rónghé guòchéng zhōng kěnéng chūxiàn de chōngtū hé wèntí, yě shuōmíng le mángmù zhàobān zhàocāo ér bù jiéhé shíjì qíngkuàng de bìduān.

한나라 때, 서역 구자국의 왕 강빈은 여러 차례 한나라를 방문했고, 귀국 후 한나라 제도를 도입하여 백성들의 불만을 샀다. 어떤 사람은 그의 정책이 노새와 같다고 말했는데, 당나귀도 아니고 말도 아닌, 어떤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것이라고 묘사했다. 이것은 문화 융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문제를 반영하고, 실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모방하는 것의 폐해를 보여준다.

Usage

主要用作谓语、状语和补语,常用来形容事物不伦不类,不规范。

zhǔyào yòng zuò wèiyǔ, zhuàngyǔ hé bǔyǔ, cháng yòng lái xíngróng shìwù bù lún bù lèi, bù guīfàn

주로 서술어, 부사어, 보어로 사용되며, 사물이 어중간하고 비표준적인 것을 나타낸다.

Examples

  • 他的行为举止非驴非马,让人摸不着头脑。

    tā de xíngwéi jǔzhǐ fēi lǘ fēi mǎ, ràng rén mō bù zháo tóu nǎo.

    그의 행동은 어중간해서 알 수가 없다.

  • 这篇文章写得非驴非马,既不像小说,也不像论文。

    zhè piān wénzhāng xiě de fēi lǘ fēi mǎ, jì bù xiàng xiǎoshuō, yě bù xiàng lùnwén

    이 글은 소설 같지도 논문 같지도 않고 어정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