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文乱法 문란법
Explanation
指用儒家经典歪曲事实,攻击法令,以达到个人目的的行为。
유교 경전을 이용하여 사실을 왜곡하고 법령을 공격하여 개인적인 목적을 달성하려는 행위를 가리킨다.
Origin Story
战国时期,群雄逐鹿,诸子百家思想活跃。当时,一些儒生凭借着对儒家经典的深刻理解,常常以经典为依据,批判当时的法律和政治制度。他们认为,有些法律与儒家思想相悖,不符合仁义道德,于是便用各种方式反对这些法律,甚至鼓动百姓对抗朝廷。这种行为虽然表面上是维护仁义道德,实际上却扰乱了社会秩序,造成了严重的社会问题。例如,一个名叫李白的儒生,他深信儒家经典的教诲,他认为当时的法律过于严苛,不符合儒家的“仁政”思想,便开始在民间宣扬他的观点,并用儒家经典来解释他的言论,结果导致许多民众误解了朝廷的政策,从而引发了社会动荡。最终,李白因“以文乱法”而被朝廷惩处。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에는 다양한 사상이 융성했습니다. 유교 경전을 깊이 이해하고 있던 유학자들 중에는 그 경전을 근거로 당시의 법과 정치 제도를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들은 일부 법률이 유교의 인의에 어긋나고 도덕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 법률에 반대하고 백성을 조정에 저항하게 하기도 했습니다. 언뜻 보면 도덕을 높이 내세우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고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유교의 가르침을 굳게 믿고 있던 이백이라는 유학자는 당시의 법이 너무 가혹하다고 생각하여 유교의 인정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유교 경전을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백성들에게 널리 알렸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조정의 방침을 오해하여 사회 불안을 초래했습니다. 결국 이백은 “문란법”이라는 죄목으로 조정으로부터 처벌을 받았습니다。
Usage
多用于批评那些以经典为借口,反对法令或政策的人。
경전을 핑계로 법령이나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된다.
Examples
-
某些读书人以经典为借口,反对国家的法令,这是典型的以文乱法。
mouxie dushuren yijing wei jiekou, fandui guojia defalings, zheshi dianyingde yiwenluanfa.
일부 학자들은 고전을 핑계로 국가 법령에 반대하는데, 이것은 전형적인 문란법의 예시이다.
-
他常常以文乱法,挑战权威,最终却自食其果。
ta changchang yiwenluanfa, tiaozhan quanwei, zui zhong que zishiqi guo
그는 종종 문헌을 이용하여 권위에 도전했지만, 결국에는 역효과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