兵微将寡 병사와 장수가 적다
Explanation
兵微将寡,意思是士兵少,将领也少。形容力量薄弱,实力不足。
병미장과(兵微將寡)는 병사와 장수가 적다는 뜻입니다. 세력이 약하고 힘이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丞相诸葛亮北伐中原,屡次受挫。蜀国地小民穷,国力不如魏国雄厚,兵微将寡,只能凭借精兵强将和巧妙的战术与魏军周旋。一次,诸葛亮率领大军驻扎在渭水之滨,魏军大将司马懿率领大军前来挑战。司马懿深知蜀汉兵微将寡,粮草匮乏,便采取了坚壁清野的策略,企图耗尽蜀军的实力。诸葛亮也意识到了魏军的意图,他并没有贸然进攻,而是采取了稳扎稳打的策略,一方面修整军备,另一方面积极寻找机会,伺机而动。最终,在经过长期艰苦的斗争后,诸葛亮利用司马懿的轻敌心理,设下埋伏,大败魏军,取得了北伐战争的阶段性胜利,也为蜀汉争取了宝贵的喘息时间。然而,蜀汉的国力始终不如魏国,兵微将寡的局面一直没有得到根本性的改变,诸葛亮最终病逝五丈原。
삼국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중원 북벌을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촉은 국토가 좁고 백성도 가난하여 위나라의 강력한 국력에 훨씬 미치지 못했고, 병사와 장수가 부족하여 정예병과 정교한 전술로 위나라 군대와 대치할 수밖에 없었다. 어느 날 제갈량은 위수 강가에 군대를 주둔시켰는데, 위나라 장수 사마의가 대군을 이끌고 도전해 왔다. 사마의는 촉나라의 병력과 장수가 부족하고 식량도 부족한 것을 알고 있었기에, 견벽청야 전략을 사용하여 촉군의 힘을 소모하려 했다. 제갈량도 사마의의 의도를 파악하고 경솔하게 공격하지 않고, 착실하게 일을 진행하는 작전을 취했다. 한편으로는 군비를 정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회를 엿보며 호기를 기다렸다. 오랜 시간 고된 싸움 끝에 제갈량은 사마의의 방심을 이용하여 매복을 설치하고 위나라 군대를 크게 무찔러 북벌 전쟁에서 일시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촉한은 귀중한 유예 기간을 얻었다. 하지만 촉한의 국력은 항상 위나라에 미치지 못했고, 병력과 장수가 부족한 상황은 근본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으며, 제갈량은 결국 오장원에서 병사했다.
Usage
用作宾语、定语;形容力量薄弱。
목적어 또는 수식어로 사용됩니다. 힘이 약함을 나타냅니다.
Examples
-
面对强大的对手,我们兵微将寡,必须谨慎应对。
miànduì qiángdà de duìshǒu, wǒmen bīng wēi jiàng guǎ, bìxū jǐnshèn yìngduì.
강력한 적수를 상대로 병력과 장수가 부족하므로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
-
创业初期,公司兵微将寡,但团队成员士气高昂,努力拼搏。
chuàngyè chūqī, gōngsī bīng wēi jiàng guǎ, dàn tuánduì chéngyuán shìqì gāoáng, nǔlì pīnbó
창업 초기 회사는 인력이 부족했지만 팀원들의 사기는 높았고 열심히 노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