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作解人 강작해인
Explanation
指不明真意而乱发议论。比喻对某事物不了解,却装作很懂的样子,随意评论,往往会出错。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 무작정 의견을 말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 무언가를 이해하지 못하면서 이해하는 척하며 함부로 논평하여 종종 실수하는 사람을 묘사합니다.
Origin Story
东晋时期,谢安年轻时对战国时期赵国公孙龙著的《白马论》不能理解,就去向金紫光禄大夫阮裕请教。阮裕写了一篇解说《白马论》的文章交给谢安。谢安对他的解说文更加看不明白,又去请教他。阮裕自叹道:‘非但能言人不可得,正索解人亦不得。’这便是“强作解人”的典故。谢安虽为名士,但在面对复杂难懂的《白马论》时,也无法真正理解其含义,更无法做到准确地解释。而阮裕虽然试图解释,却依然无法让谢安满意,这说明有些问题并非轻易就能解释清楚,也并非任何人都能轻易解读。这故事告诉我们,在面对自己不熟悉的领域或问题时,谦虚谨慎的态度更为重要,切忌盲目自信,强作解人。
동진 시대, 젊은 시절의 사안은 전국 시대 조나라의 공손룡이 지은 『백마론』을 이해하지 못해 금자광록대부 완유에게 가르침을 청했습니다. 완유는 『백마론』을 해설하는 글을 사안에게 주었습니다. 사안은 그 해설문도 이해하지 못하고 다시 완유에게 가르침을 청했습니다. 완유는 자조하듯이 말했습니다.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것도 어렵습니다." 이것이 바로 "강작해인"의 고사입니다. 사안은 명사였지만, 복잡하고 난해한 『백마론』에 직면했을 때, 그 의미를 정말로 이해할 수 없었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도 없었습니다. 완유는 설명하려고 했지만, 그래도 사안을 만족시킬 수 없었습니다. 이것은 일부 문제는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누구나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익숙하지 않은 분야나 문제에 직면했을 때, 겸손하고 신중한 태도가 더 중요함을 가르쳐줍니다. 맹목적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아는 체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Usage
常用来形容对某事物不了解,却装作很懂的样子,随意评论,往往会出错。
무언가를 이해하지 못하면서 이해하는 척하며 함부로 논평하여 종종 실수하는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总是强作解人,评论别人的作品,结果总是闹笑话。
tā zǒng shì qiǎng zuò jiě rén, pínglùn biérén de zuòpǐn, jiéguǒ zǒng shì nào xiàohua
그는 항상 아는 척하며 다른 사람들의 작품에 대해 논평하는데, 항상 우스운 일이 됩니다.
-
对于自己不了解的事情,不要强作解人,以免贻笑大方。
duìyú zìjǐ bù lěujiě de shìqíng, bùyào qiǎng zuò jiě rén, yǐmiǎn yíxiào dàfang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는 척하지 마세요. 바보가 되지 않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