恭敬不如从命 공경이 순종만 못하다
Explanation
指客套话。多用在对方对自己客气,虽不敢当,但不好违命。
정중한 말투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에게 정중할 때, 자신이 감당할 만한 것이 아니더라도, 명령에 거역할 수는 없습니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一个饱读诗书的秀才,名叫李元吉。一日,他进京赶考,路过一个偏僻的小村庄。天色已晚,李元吉便敲开了一户农家的大门,想借宿一晚。农家夫妇十分热情好客,不仅为他准备了丰盛的晚餐,还让出了自己温暖的床铺。李元吉十分感激,连声说道:“恭敬不如从命,感谢老夫妇的盛情款待!” 第二天清晨,李元吉告别了农家夫妇,继续赶路,他心里暗暗下定决心,以后一定要好好学习,为国家做贡献,以报答农家夫妇的恩情。
당나라 시대에, 이원길이라는 학식 있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는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수도로 가던 중, 외딴 마을을 지나게 되었습니다. 해가 저물어서, 이원길은 농가에 숙박을 부탁했습니다. 농가 부부는 매우 친절하게도, 그를 위해 호화로운 저녁 식사를 준비해 주는 것은 물론, 자신의 따뜻한 침대까지 내어 주었습니다. 이원길은 여러 번
Usage
常用作客套话,表示接受对方的邀请或请求。
상대방의 초대나 요청을 받아들일 때의 정중한 표현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Examples
-
老人家盛情邀请,恭敬不如从命吧!
lǎorénjiā shèngqíng yāoqǐng, gōngjìng bùrú cóngmìng ba!
노인의 친절한 초대를 거절할 수 없었습니다.
-
既然领导都这么说了,恭敬不如从命
jìrán lǐngdǎo dōu zhème shuō le, gōngjìng bùrú cóngmìng
상사가 그렇게 말했으니 따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