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出多门 정령다문
Explanation
指由于中央政府权力弱化或部门之间缺乏协调,导致政令来源众多,政令相互冲突,造成混乱的局面。
중앙 정부의 권력 약화 또는 부처 간 조정 부족으로 인해 상충되는 여러 정책 지시가 내려와 혼란을 야기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末年,黄巢起义席卷全国,各地藩镇割据,各自为政。朝廷虽然号令天下,却无力统一指挥,各地将领纷纷自立为王,政令出多门,百姓苦不堪言。有个名叫李存孝的将领,武艺高强,忠于朝廷。他屡次上书皇帝,建议削藩,加强中央集权,解决政出多门的问题。但是,当时朝中奸臣当道,皇帝优柔寡断,李存孝的建议最终未能采纳。结果,战乱持续不断,百姓流离失所,国家陷入一片混乱。直到后来朱温篡唐,才结束这一局面。这便是历史上的“政出多门”的典型例子,说明了中央权力弱化,会导致国家混乱不堪的后果。
탕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전국을 뒤덮으면서 각 지역의 봉토들이 할거하고 각자 정치를 했습니다. 조정은 천하에 명령을 내렸지만, 통일된 지휘력이 없었고, 각지의 장군들은 차례로 자립을 선언하며 정령이 여러 곳에서 내려오게 되었고 백성들은 고통받았습니다. 이존효라는 장수가 있었는데, 무예가 뛰어나고 조정에 충실했습니다. 그는 여러 번 황제에게 서신을 보내 봉토를 약화시키고 중앙집권을 강화하여 여러 곳에서 정령이 내려오는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정에는 간신들이 권력을 잡고 있었고, 황제도 우유부단했기 때문에 이존효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전란은 계속되었고, 백성들은 뿔뿔이 흩어졌고 국가는 혼란에 빠졌습니다. 주원이 탕나라를 찬탈하고 나서야 이러한 상황이 종식되었습니다. 이것은 역사 속에서 '여러 곳에서 정령이 내려오는' 전형적인 사례이며, 중앙 권력이 약화되면 국가가 혼란에 빠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Usage
多用于描述政治局势混乱或政府效率低下等情况。
정치 상황이 혼란스럽거나 정부의 효율성이 낮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Examples
-
国家机构改革后,政出多门的问题有所缓解。
guojia jiguan gaige hou,zheng chudumeng de wenti yousuo huanjie.
국가기관 개혁 이후, 여러 부처에서 지시가 내려오는 문제가 다소 완화되었다.
-
由于决策权分散,导致政出多门,效率低下。
youyu juecequan fensan,daozhi zheng chudumeng,xiaolv didi
의사결정권이 분산되어 여러 부처에서 지시가 내려오는 바람에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