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教无类 유교무류
Explanation
指教育不分等级、贵贱、贫富,任何人都可以接受教育。体现了教育的平等性与普适性。
신분, 빈부에 관계없이 누구든 교육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교육의 평등성과 보편성을 보여준다.
Origin Story
春秋时期,孔子周游列国,途中途径卫国。卫国当时国力衰弱,内乱不断,社会动荡不安。孔子虽然怀抱济世安民的理想,但在卫国却无法施展抱负。他带领弟子们暂居在卫国一个偏僻的村落里。在那里,他看到了各种各样的人:有富家子弟,也有贫苦百姓;有德才兼备的青年才俊,也有不学无术的市井无赖。但他始终坚持“有教无类”的原则,对每一位前来求学的弟子都认真授课,耐心解答他们的疑问。他甚至还收留了一些出身卑微,饱受歧视的人作为弟子,毫无偏见。他的这种做法,感动了许多人,也为后世留下了宝贵的精神财富。
춘추시대, 공자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다가 위나라에 이르렀다. 당시 위나라는 국력이 약해지고 내란이 빈번하게 일어나 사회가 불안정했다. 공자는 천하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이상을 품고 있었지만, 위나라에서는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는 제자들과 함께 위나라의 외딴 시골 마을에 잠시 머물렀다. 거기서 그는 여러 가지 사람들을 만났다. 부유한 집 자제들도 있었고, 가난한 농민들도 있었다. 재능과 재능을 겸비한 젊은이들도 있었고, 배우지 않은 서민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는 '유교무류'의 원칙을 貫徹하여 가르침을 청하러 온 모든 제자들에게 열심히 가르치고, 그들의 의문에 참을성 있게 답변했다. 그는 또한 신분이 낮고 차별받던 사람들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어떠한 편견도 갖지 않았다. 그의 행동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켰고, 후세에 귀중한 정신적 유산을 남겼다.
Usage
多用于教育领域,形容教育的平等性和普适性。
주로 교육 분야에서 사용되며, 교육의 평등성과 보편성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Examples
-
孔子有教无类,广收门徒。
kǒngzǐ yǒujiàowúlèi, guǎng shōu méntú
공자는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을 가르쳤다.
-
这所学校秉承有教无类的原则,招收各种类型的学生。
zhè suǒ xuéxiào bǐngchéng yǒujiàowúlèi de yuánzé, zhāoshōu gè zhǒng lèixíng de xuésheng
이 학교는 차별 없이 교육하는 원칙을 고수하며, 모든 유형의 학생을 받아들인다.
-
他的教学理念是‘有教无类’,不分贫富贵贱。
tā de jiàoxué lǐnián shì ‘yǒujiàowúlèi’, bù fēn pínfū guìjiàn
그의 교육 철학은 '모든 사람을 가르친다'는 것이었고, 빈부의 차이를 따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