残军败将 cán jūn bài jiàng 패잔병

Explanation

指战败后残余的军队和将领。

패배 후 남은 군대와 장군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丞相诸葛亮北伐中原,七擒孟获后,挥师进攻魏国,可是没想到,在五丈原与司马懿对峙时,诸葛亮因积劳成疾,不幸病逝。诸葛亮死后,蜀汉军队失去了主帅,士气低落,加上魏军势强,蜀军一路败退,最后只剩下几千残军败将狼狈地逃回了蜀国。这段历史成为了后人警示,提醒人们要居安思危,不可骄傲自满。

hua shuo san guo shi qi, shu han cheng xiang zhu ge liang bei fa zhong yuan, qi qin meng huo hou, hui shi gong ji wei guo, ke shi mei xiang dao, zai wu zhang yuan yu si ma yi dui zhi shi, zhu ge liang yin ji lao cheng ji, bu xing bing shi. zhu ge liang si hou, shu han jun dui shi qu le zhu shuai, shi qi di luo, jia shang wei jun shi qiang, shu jun yi lu bai tui, zui hou zhi sheng ji qian can jun bai jiang lang bei di tao hui le shu guo. zhe duan li shi cheng wei le hou ren jing shi, ti xing ren men yao ju an si wei, bu ke jiao ao zi man.

삼국지 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북벌 중 맹획을 일곱 번이나 항복시킨 뒤 위나라를 공격하려 했으나, 오장원에서 사마의와 대치 중 과로로 병사했다. 제갈량 사후 촉한군은 주장을 잃고 사기가 저하되어 위나라 군세에 밀려 패주를 거듭하다 결국 수천 명의 패잔병만이 촉으로 몰래 돌아갔다. 이 역사적 사건은 후세 사람들에게 평화로운 시대에도 위험을 경계하고 교만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Usage

作宾语、定语;多用于书面语。

zuo bingu, dingyu; duo yongyu shumianyu

목적어와 수식어로 사용된다. 주로 서면어에서 사용된다.

Examples

  • 战场上,残军败将四处逃窜。

    zhan chang shang, can jun bai jiang si chu tao cuan.

    전장에서 패잔병들은 사방으로 도망쳤다.

  • 这支残军败将已经无力回天了。

    zhe zhi can jun bai jiang yi jing wu li hui tian le

    이 패잔병들은 이미 회생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