相见恨晚 상견한만
Explanation
形容一见如故,意气极其相投,只恨相见得太晚了。
마치 오랫동안 알고 지낸 것처럼, 첫 만남부터 서로 잘 통하고 성격이 매우 잘 맞는 것을 나타냅니다.
Origin Story
汉武帝时期,有个名叫主父偃的谋士,才华横溢,却一直没有得到重用。屡屡碰壁后,他最终决定向汉武帝上书,阐述自己的治国理念。汉武帝被他的才华深深折服,立即召见了他。在与主父偃、徐乐、严安等大臣商议国事时,汉武帝不禁感叹道:‘公等皆安在?何相见之晚也!’(诸位先生都在哪里?为什么我们相识这么晚!)这便是‘相见恨晚’的由来,汉武帝与主父偃三人一见如故,推心置腹,从此主父偃成为汉武帝的亲信,为汉武帝的统治做出了很大的贡献。主父偃后来提出了‘推恩令’,为巩固西汉的统治立下了汗马功劳。
한나라 시대, 주부언이라는 뛰어난 책사가 있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방법을 찾아 평생을 보냈습니다. 여러 차례 실패 끝에, 그는 마침내 무제에게 편지를 쓰고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설명했습니다. 무제는 그의 재능에 깊은 감명을 받고 즉시 그를 불렀습니다. 무제는 다른 신하들인 서락과 엄안과 함께 국가 운영에 대해 논의하는 중에 한숨을 쉬었습니다. “너희들은 지금까지 어디에 있었느냐? 왜 이제야 만났느냐?”(너희들은 지금까지 어디에 있었느냐? 왜 이렇게 늦게 만났느냐?) 이것이 “상견한만”의 유래입니다. 무제와 세 사람은 즉시 마음이 통하고 서로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았습니다. 그 이후로 주부언은 무제의 가까운 조언자가 되어 무제의 통치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주부언은 나중에 “추은령”을 제안하여 서한의 통치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Usage
多用于表达对久未相识的朋友的惋惜之情,也用于表达对志同道合的朋友的欣赏之情。
주로 오랫동안 보지 못했던 친구와의 만남이 늦었다는 후회나, 마음이 잘 맞는 친구에 대한 감사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两位专家一见如故,相见恨晚,相談甚欢。
liǎng wèi zhuānjiā yī jiàn rú gù, xiāng jiàn hèn wǎn, tán suán shèn huān.
두 전문가는 첫 만남부터 매우 잘 통했고, 오랜 친구처럼 만나 즐거운 대화를 나눴습니다.
-
他与多年未见的故友重逢,相见恨晚,感慨万千。
tā yǔ duō nián wèi jiàn de gù yǒu chóng féng, xiāng jiàn hèn wǎn, gǎn kǎi wàn qiān.
그는 오랫동안 못 본 옛 친구를 다시 만났고, 서로 만나서 매우 기뻐하며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