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古非今 과거를 들어 현재를 비판하다
Explanation
用古代的制度、事例来否定或批评现代的制度、措施。
고대의 제도나 사례를 이용하여 현대의 제도나 조치를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것.
Origin Story
秦始皇统一六国后,为了加强中央集权,焚书坑儒,禁止人们以古非今。然而,历史的车轮滚滚向前,任何试图扼杀思想的行为都注定要失败。焚书坑儒的暴行,最终也成了后世批判秦始皇暴政的铁证。故事中,秦始皇的举动正是“以古非今”的反面教材,体现了统治者的专制和残暴,也暗示了压制思想的最终失败。在那个时代,许多学者和文人用经典著作阐述治国理政之道,以古喻今,希望借鉴历史经验,改善民生。但秦始皇却视此为威胁,认为这些思想会动摇他的统治,于是下令焚烧书籍,坑杀儒生。然而,历史的教训告诉我们,任何试图掩盖真相的行为都是徒劳的。以古非今,只会使统治者更加孤陋寡闻,最终走向灭亡。
진시황이 6개국을 통일한 후 중앙집권을 강화하기 위해 분서갱유를 단행하고 과거를 들어 현재를 비판하는 것을 금지했다. 하지만 역사의 수레바퀴는 계속 전진했고, 어떤 사상 억압도 실패로 끝날 운명이었다. 분서갱유의 폭거는 후세에 진시황의 폭정을 비판하는 증거가 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진시황의 행동은 ‘과거를 들어 현재를 비판하는 것’의 반면교사이며, 지배자의 전제와 잔혹성을 보여주고, 사상 억압의 최종적인 실패를 암시한다. 당시 많은 학자와 문인들은 고전을 이용하여 치국론을 설명하고, 과거를 통해 현재를 비추어 역사적 경험을 배우고 백성의 삶을 개선하려 했다. 하지만 진시황은 이것을 위협으로 여기고, 이러한 사상이 자신의 통치를 위협한다고 생각하여 분서갱유를 명령했다. 하지만 역사의 교훈은 진실을 은폐하려는 모든 시도가 헛된 일임을 알려준다. 과거를 들어 현재를 비난하는 것은 지배자를 더욱 무지하게 만들어 결국 멸망으로 이끌 뿐이다.
Usage
主要用于批评那些墨守成规,不思进取的人。
주로 구습에 집착하고 발전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판할 때 사용한다.
Examples
-
某些人总是以古非今,试图用过去的经验来否定现在的做法。
mǒuxiē rén zǒngshì yǐ gǔ fēi jīn, shìtú yòng guòqù de jīngyàn lái fǒudìng xiànzài de zuòfǎ.
어떤 사람들은 항상 과거를 들어 현재를 비판하며, 과거의 경험을 이용해 현재의 방식을 부정하려 한다.
-
他喜欢以古非今,批评现代社会的一些现象。
tā xǐhuan yǐ gǔ fēi jīn, pīpíng xiàndài shèhuì de yīxiē xiànxiàng
그는 과거를 들어 현대 사회의 몇 가지 현상을 비판하는 것을 좋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