偏安一隅 한편에 편안히 자리 잡다
Explanation
指在一个偏僻的角落苟且偷安。多指国土沦丧后,统治者在残存的一小块土地上苟且偷安。
외딴 구석에서 살아남는 것을 의미한다. 종종 영토를 잃은 후 남은 작은 땅에서 살아남는 통치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Origin Story
公元1127年,金兵南下,北宋灭亡。宋徽宗、宋钦宗被俘,赵构在南京应天府(今河南商丘)即位,史称南宋。由于北方土地尽失,南宋只能在长江以南偏安一隅,苟且偷安,最终无力收复失地,只能在风雨飘摇中苦苦支撑。这便是“偏安一隅”的真实写照,它体现了国家在面对强敌入侵时,无力抵抗,只能退守一方的无奈和悲凉。
1127년, 금나라 군대가 남하하여 북송이 멸망했다. 송휘종과 송흠종은 포로가 되었고, 조구는 남경 응천부(현재 허난성 상추시)에서 즉위하여 남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북쪽 영토를 잃었기 때문에 남송은 장강 남쪽 구석에 웅크리고 겨우 명맥을 유지했다. 결국 잃어버린 땅을 되찾을 힘도 없이 격변 속에서 고통스럽게 버텨야 했다. 이것이 바로 "편안일우"의 진정한 모습이며, 강력한 적의 침략에 저항할 수 없어 한 구석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던 나라의 무력함과 슬픔을 보여준다.
Usage
用作宾语、定语;指在残存的土地上苟且偷安。
목적어 또는 수식어로 사용됩니다. 남아 있는 지역에서의 생존을 설명합니다.
Examples
-
南宋偏安一隅,苟延残喘。
NaNsong pian'an yi yu, gouyan can chuan.
남송은 한 구석에 웅크리고 겨우 명맥을 유지했다.
-
小国偏安一隅,不问世事。
Xiaoguo pian'an yi yu, buwen shishi
작은 나라는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세상일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