将信将疑 jiāng xìn jiāng yí 반신반의

Explanation

既相信又怀疑,形容对某事无法轻易相信。

믿고 의심하는 마음이 동시에 있는 상태. 불확실한 마음을 나타냄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一个书生进京赶考。路途遥远,他走走停停,在荒郊野外遇到一位老道。老道自称得道高人,能预知未来,并神秘地告诉书生,这次考试他将高中状元。书生将信将疑,半信半疑地继续赶路。到达京城后,书生参加考试,发挥失常,落榜了。这时,书生才明白老道的话不可全信。

huà shuō táng cháo shí qī, yīgè shūshēng jìnjīng gǎnkǎo. lùtú yáoyuǎn, tā zǒu zǒu tíng tíng, zài huāngjiāo yěwài yù dào yī wèi lǎodào. lǎodào zìchēng dédào gāorén, néng yùzhī wèilái, bìng shénmì de gàosù shūshēng, zhè cì kǎoshì tā jiāng gāozhōng zhuàngyuán. shūshēng jiāng xìn jiāng yí, bàn xìn bàn yí de jìxù gǎn lù. dàodá jīngchéng hòu, shūshēng cānjīa kǎoshì, fāhuī shīcháng, luò bǎng le. zhè shí, shūshēng cái míngbái lǎodào de huà bùkě quán xìn.

당나라 시대, 한 선비가 과거 시험을 보러 수도로 여행을 떠났습니다. 먼 길을 가던 중 황량한 들판에서 노도사를 만났습니다. 노도사는 자신이 도를 깨달은 자라고 소개하며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 선비에게 이번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할 것이라고 신비롭게 말했습니다. 선비는 반신반의하며 여행을 계속했습니다. 수도에 도착해서 시험을 보았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고 낙방했습니다. 그때서야 선비는 노도사의 말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Usage

表示对某件事情既相信又怀疑,拿不准的态度。常用于对难以置信的事情或事情真伪不明确的时候。

biǎoshì duì mǒu jiàn shìqing jì xiāngxìn yòu huáiyí, ná bù zhǔn de tàidu. cháng yòng yú duì nán yǐ zhìxìn de shìqing huò shìqing zhēnwěi bù míngquè de shíhòu.

어떤 일에 대해 믿는 마음과 의심하는 마음이 동시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 믿기 어려운 일이나 진위 여부가 불분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

Examples

  • 他说的那些话,我将信将疑。

    ta shuode na xie hua, wo jiang xin jiang yi

    그의 말이 반신반의하다.

  • 对于他的解释,我将信将疑,不敢全信。

    duiyu ta de jieshi, wo jiang xin jiang yi, bu gan quan xin

    그의 설명은 미심쩍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