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弩末矢 강누의 말시
Explanation
比喻强大的力量已经衰弱,起不了什么作用。
강력한 힘이 약해져 더 이상 효과가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Origin Story
话说三国时期,蜀汉丞相诸葛亮北伐中原,多次深入曹魏腹地,给曹魏造成了巨大的损失。但随着时间的推移,蜀汉国力日渐衰微,诸葛亮也年事已高,屡战屡败,已无力再战。一次,诸葛亮与马谡商议北伐战略,马谡乐观地认为只要采取正确的战术,仍然可以取得胜利。诸葛亮听后长叹一声,说道:"强弩末矢,徒劳无功啊!"他知道,蜀汉的国力已经衰竭,即使有再好的战术,也难以扭转败局。最终,诸葛亮含恨病逝,北伐也宣告失败。这便是强弩末矢的故事,它告诫我们,任何强大的力量,在走向衰微时,都将失去作用。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북벌을 여러 차례 감행하여 위나라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촉한의 국력은 점차 약해지고, 고령의 제갈량은 계속 패배를 거듭했다. 어느 날, 제갈량은 마속과 북벌 전략을 논의했다. 마속은 적절한 전술을 사용하면 승리할 수 있다고 낙관했지만, 제갈량은 한숨을 쉬며 “강누의 말시, 헛수고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촉한의 국력이 고갈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아무리 훌륭한 전술을 사용해도 패배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결국 제갈량은 병으로 죽었고, 북벌은 실패로 끝났다. 이것이 바로 “강누의 말시”의 고사이며, 아무리 강력한 힘도 쇠퇴하기 시작하면 효력을 잃는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Usage
形容力量衰竭,无法发挥作用。
힘이 다하여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낸다.
Examples
-
改革开放初期,一些老的管理体制已不适应新的形势,强弩末矢,力不从心。
gǎigé kāifàng chūqī, yīxiē lǎo de guǎnlǐ tǐzhì yǐ bù shìyìng xīn de xíngshì, qiáng nǔ mò shǐ, lì bù cóng xīn.
개혁개방 초기, 일부 기존 관리 제도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고 강弩의 말시처럼 힘이 부족했다.
-
面对来势汹汹的敌人,他们虽然奋勇抵抗,但毕竟是强弩末矢,最终还是失败了。
miàn duì láishì xióngxiōng de dírén, tāmen suīrán fèn yǒng dǐkàng, dàn bìjìng shì qiáng nǔ mò shǐ, zuìzhōng háishì shībài le.
사정없이 몰려드는 적에 용감히 저항했지만, 결국 강弩의 말시처럼 패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