无所适从 wú suǒ shì cóng 어찌할 바를 모르다

Explanation

指不知如何选择或行动,不知所措。形容处境困难,无法决定。

어떻게 선택하거나 행동해야 할지 몰라서 갈피를 못 잡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것을 나타냅니다.

Origin Story

晋献公时期,他命令大臣们分别为晋公子重耳和夷吾修建城池。夷吾对修建的城池不满意,向晋献公告状。晋献公询问大臣们为何不认真修建,大臣们回答说因为两位公子都有自己的意见,让他们无所适从。晋献公听后,认为大臣们说的有道理,于是下令杀死太子申生,并将重耳流放狄国。这个故事说明了在面对多方压力和意见时,如果不能明智地做出决定,很可能会导致不好的结果。

jìn xiàn gōng shíqī, tā mìnglìng dàchénmen fēnbié wèi jìn gōngzǐ zhòng ěr hé yí wú xiūjiàn chéngchí. yí wú duì xiūjiàn de chéngchí bù mǎnyì, xiàng jìn xiàn gōng gàozhuàng. jìn xiàn gōng xúnwèn dàchénmen wèihé bù rènzhēn xiūjiàn, dàchénmen huídá shuō yīnwèi liǎng wèi gōngzǐ dōu yǒu zìjǐ de yìjiàn, ràng tāmen wú suǒ shì cóng. jìn xiàn gōng tīng hòu, rènwéi dàchénmen shuō de yǒu dàolǐ, yúshì xiàlìng shā sǐ tàizǐ shēn shēng, bìng jiāng zhòng ěr liúfàng dí guó. zhège gùshì shuōmíng le zài miàn duì duōfāng yālì hé yìjiàn shí, rúguǒ bù néng míngzhì de zuò chū juédìng, hěn kěnéng huì dǎozhì bù hǎo de jiéguǒ.

진헌공 시대에 그는 신하들에게 각각 진공자 중이와 이우를 위해 성벽을 쌓도록 명령했습니다. 이우는 건설에 불만을 품고 진헌공에게 항의했습니다. 진헌공은 신하들에게 왜 열심히 건설하지 않았는지 묻자, 신하들은 두 공자가 각자의 의견을 가지고 있어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고 대답했습니다. 진헌공은 그 말을 듣고 신하들의 말이 옳다고 생각하여 태자 신생을 죽이고 중이를 적국으로 유배 보내도록 명령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여러 압력과 의견에 직면했을 때, 현명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면 나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Usage

常用于表达对某种选择或行动的迷茫和不知所措。

cháng yòng yú biǎodá duì mǒu zhǒng xuǎnzé huò xíngdòng de mí máng hé bù zhī suǒ cuò

어떤 선택이나 행동에 대한 혼란과 당황함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Examples

  • 面对众多选择,他无所适从,不知该如何决定。

    miànduì zhòngduō xuǎnzé, tā wú suǒ shì cóng, bù zhī gāi rúhé juédìng

    많은 선택지 앞에서 그는 어찌할 바를 몰라 우왕좌왕했다.

  • 面对突发事件,他一时无所适从,手足无措。

    miànduì tūfā shìjiàn, tā yīshí wú suǒ shì cóng, shǒuzú wú cuò

    갑작스러운 사건에 직면하여 그는 당황하여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 毕业后,他无所适从,不知道该选择哪个职业。

    bìyè hòu, tā wú suǒ shì cóng, bù zhīdào gāi xuǎnzé nǎ ge zhíyè

    졸업 후 그는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방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