洋洋自得 yáng yáng zì dé 자만심에 차서

Explanation

形容得意时神气十足的姿态。

자만심에 차서 거만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个名叫李白的书生,他从小就聪明好学,尤其擅长写诗。一天,他写了一首好诗,心里美滋滋的,便拿着诗稿去见一位有名的诗人,想让对方点评。诗人看完后,赞不绝口,连连称赞李白的才华横溢。李白听后,心里更是得意洋洋,走路都像飘起来一样,神气十足,完全沉浸在成功的喜悦之中,一副洋洋自得的样子。他一路走,一路哼着小曲,根本没注意到路边的坑洼,结果一脚踩空,摔了个狗吃屎,这下子,他之前的得意劲儿全都没了。

huà shuō táng cháo shíqī, yǒu gè míng jiào lǐ bái de shūshēng, tā cóng xiǎo jiù cōngmíng hàoxué, yóuqí shàncháng xiě shī. yītiān, tā xiěle yī shǒu hǎo shī, xīn lǐ měizīzī de, biàn ná zhe shīgǎo qù jiàn yī wèi yǒumíng de shīrén, xiǎng ràng duìfāng diǎnpíng. shīrén kàn wán hòu, zàn bù jué kǒu, lián lián chēngzàn lǐ bái de cáihuá héngyì. lǐ bái tīng hòu, xīn lǐ gèng shì déyì yángyáng, zǒulù dōu xiàng piāo qǐ lái yīyàng, shénqì shízú, wánquán chénjìn zài chénggōng de xǐyuè zhōng, yī fù yángyáng zìdé de yàngzi. tā yīlù zǒu, yīlù hēngzhe xiǎo qǔ, gēnběn méi zhùyì lù biān de kēngwā, jiéguǒ yī jiǎo cǎi kōng, shuāi le gǒu chī shǐ, zhè xiàzi, tā zhīqián de déyì jìnr quán dōu méi le.

당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학구적이었으며, 특히 시 쓰는 데 뛰어났습니다. 어느 날, 그는 멋진 시를 쓰고 매우 만족했습니다. 그는 그 원고를 유명한 시인에게 주어 비평을 받고 싶어했습니다. 시인은 그것을 읽은 후 이백의 뛰어난 재능을 극찬했습니다. 이백은 더욱 기뻐하며, 마치 떠 있는 것처럼 걸었습니다. 그는 성공의 기쁨에 흠뻑 빠져서 매우 자만심에 차 있었습니다. 그는 노래를 흥얼거리며 산책을 하고 있었지만, 길의 요철에 신경 쓰지 못하고, 발을 헛디뎌 넘어졌습니다. 그의 자만심은 사라졌습니다.

Usage

用于描写人得意洋洋的神态。

yòng yú miáoxiě rén déyì yángyáng de shéntài

사람이 매우 자만스러운 태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Examples

  • 他考试得了满分,洋洋自得地笑了。

    tā kǎoshì déle mǎnfēn, yángyáng zìdé de xiàole.

    그는 시험에서 만점을 받고 흡족한 미소를 지었다.

  • 取得成功后,他洋洋自得,得意洋洋。

    qǔdé chénggōng hòu, tā yángyáng zìdé, déyì yángyáng

    성공한 후 그는 자만심에 차서 거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