渔人得利 yú rén dé lì 어부지리

Explanation

指双方争执不下,而第三者从中获利。

두 당사자가 분쟁에 휘말려 있는 동안 제삼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Origin Story

战国时期,燕国与赵国剑拔弩张,一触即发。燕王担心战争爆发,于是派苏代前往赵国游说。苏代向赵王讲述了鹬蚌相争的故事:一只鹬鸟想吃河蚌,河蚌紧紧地夹住鹬鸟的嘴不放,双方僵持不下。这时,一个渔翁轻松地将鹬和蚌一起捉走了。苏代以此比喻如果燕赵开战,秦国将像渔翁一样坐收渔翁之利。赵王听后,深思熟虑,最终放弃了攻打燕国的计划。

zhànguó shíqī, yàn guó yǔ zhào guó jiànbá nǔzhāng, yī chù jí fā. yàn wáng dānxīn zhànzhēng bàofā, yúshì pài sū dài qiánwǎng zhào guó yóushuō. sū dài xiàng zhào wáng jiǎngshù le yùbàng xiāngzhēng de gùshì: yī zhī yù niǎo xiǎng chī hé bàng, hé bàng jǐnjǐn de jiā zhù yù niǎo de zuǐ bù fàng, shuāngfāng jiāngchí bù xià. zhè shí, yī gè yúwēng qīngsōng de jiāng yù hé bàng yīqǐ zhuō zǒu le. sū dài yǐ cǐ bǐyù rúguǒ yàn zhào kāizhàn, qín guó jiāng xiàng yúwēng yīyàng zuòshōu yúwēng zhī lì. zhào wáng tīng hòu, shēnsī shúlǜ, zuìzhōng fàngqì le gōng dǎ yàn guó de jìhuà.

전국 시대, 연나라와 조나라는 전쟁 직전이었다. 연나라 왕은 전쟁 발발을 우려하여 사대를 조나라에 협상을 위해 파견했다. 사대는 조나라 왕에게, 해오라기와 조개 이야기를 했다. 해오라기가 조개를 먹으려고 하자, 조개는 해오라기의 부리를 꽉 물고, 양쪽 모두 교착 상태가 되었다. 그러자 어부가 간단하게 둘 다 잡았다. 사대는 이것을 연나라와 조나라의 임박한 전쟁에 비유했다. 진나라는 어부처럼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심사숙고 끝에 조나라 왕은 마침내 연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포기했다.

Usage

常用来比喻双方争斗,而第三者从中获利。

cháng yòng lái bǐyù shuāngfāng zhēngdòu, ér dìsānfāng cóng zhōng huòlì

두 당사자가 싸우는 상황에서 제삼자가 이익을 얻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鹬蚌相持,渔人得利。

    yùbàng xiāngchí, yúréndélì

    가시고기와 조개의 싸움, 어부지리.

  • 这场纷争,最终让第三方渔人得利了。

    zhè chǎng fēnzhēng, zuìzhōng ràng dìsānfāng yúréndélì le

    이 분쟁은 궁극적으로 제 삼자인 어부가 이익을 얻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