见利思义 견리사의
Explanation
看到利益要想到道义,强调的是道德修养和廉洁自律。
이익을 보면 도덕을 생각해야 합니다. 도덕적 수양과 자기 수양을 강조합니다.
Origin Story
话说春秋时期,齐国大夫晏婴以其高尚的品德闻名于世。有一次,齐景公赏赐给他很多珍宝,晏婴却谢绝了。景公不解,问道:"先生为何推辞?"晏婴答道:"臣身为国之重臣,理应为国分忧,不敢贪图享乐。见利思义,这是臣的本分。"景公听后深受感动,对晏婴更加敬佩。从此,晏婴更加勤勉尽责,为齐国发展做出了巨大贡献。
춘추 시대 제나라 대부 안영은 그 고결한 인품으로 세상에 이름을 날렸습니다. 어느 날 제경공이 그에게 많은 보물을 하사했지만, 안영은 사양했습니다. 경공은 이해가 가지 않아 “선생은 어찌 사양하십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안영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신은 나라의 중신으로서 나라를 위해 걱정해야지 사치를 탐해서는 안 됩니다. ‘견리사의’, 이것이 신의 본분입니다.” 경공은 감동하여 안영을 더욱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로 안영은 더욱더 성실하게 직무에 임하여 제나라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Usage
用于形容一个人在面对利益时,能够不忘道义,保持清廉正直。
이익에 직면했을 때 도덕을 잊지 않고 청렴하고 정직함을 유지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Examples
-
面对巨额财富,他依然能够见利思义,保持清廉。
mian dui jue'e caifu, ta yiran nenggou jianli siyi, baochi qinglian.
막대한 부를 마주했을 때에도 그는 여전히 의를 생각하고 청렴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见利思义是为人处世的准则,也是为官从政的底线。
jianli siyi shi wei ren chushi de zhunze, yeshi wei guan congzheng de dixian
견리사의는 삶의 지침일 뿐만 아니라 관료의 최소한의 기준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