退避三舍 세 걸음 물러서다
Explanation
退避三舍,意思是主动退让九十里。这个成语出自《左传·僖公二十三年》,比喻主动退让和回避,避免冲突。
„세 걸음 물러서다“는 자발적으로 90리 후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춘추좌씨전』 희공 23년 기록에서 유래했으며, 자발적으로 양보하여 충돌을 피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Origin Story
春秋时期,晋国内乱,晋献公的儿子重耳逃到楚国。楚成王收留并款待他,他许以如晋楚发生战争晋军退避三舍。后来重耳在秦穆公的帮助下重回晋国执政。晋国支持宋国与楚国发生矛盾,两军在城濮相遇,重耳退避三舍,诱敌深入而大胜。从此以后,退避三舍就成为成语,比喻主动退让和回避,避免冲突。
전국 시대에 진나라에서 내란이 일어나 진헌공의 아들 중이가 초나라로 도망쳤습니다. 초성왕은 그를 받아들여 후대했습니다. 중이는 만약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쟁을 일으키면 진나라 군대는 세 걸음 물러서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후에 중이는 진나라로 돌아와 군주가 되었습니다. 진나라는 송나라를 지원하여 초나라와 대립했습니다. 양군은 성복에서 만났고 중이는 세 걸음 물러서서 적을 깊이 유인하여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그 이후로
Usage
退避三舍是一个成语,意思是主动退让,避免冲突。它常用于形容在遇到矛盾或冲突时,采取退让的方式来化解矛盾,避免冲突。
„세 걸음 물러서다“는 자발적으로 양보하여 충돌을 피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모순이나 갈등에 직면했을 때, 양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xamples
-
为了避免冲突,我们应该退避三舍。
wèi le bì miǎn chōng tū, wǒ men yīng gāi tuì bì sān shě.
갈등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세 걸음 물러서야 합니다.
-
面对竞争对手的挑衅,他选择了退避三舍。
miàn duì jìng zhēng duì shǒu de tiǎo xìn, tā xuǎn zé le tuì bì sān shě.
경쟁자의 도발에 직면하여 그는 세 걸음 물러서기를 선택했습니다.
-
在处理与同事的矛盾时,有时退避三舍也是一种明智的选择。
zài chǔ lǐ yǔ tóng shì de máo dùn shí, yǒu shí tuì bì sān shě yě shì yī zhǒng míng zhì de xuǎn zé.
동료와의 갈등을 해결할 때, 때로는 세 걸음 물러서는 것도 현명한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