避实击虚 bì shí jī xū 강한 것을 피하고 약한 것을 공격하다

Explanation

避实击虚是一个汉语成语,意思是避开敌人的主力,攻击敌人的薄弱环节。也比喻在辩论或写作中,避开主要问题,攻击次要问题,或回避要害。

"강한 것을 피하고 약한 것을 공격하다"는 적의 주력을 피하고 적의 약점을 공격하는 것을 의미하는 중국 속담입니다. 논쟁이나 글쓰기에서 주요 문제를 피하고 사소한 문제를 공격하거나 핵심적인 부분을 회피하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Origin Story

公元前623年,晋楚城濮之战,晋文公采用避实击虚的策略,取得了决定性胜利。楚军主力在中军,实力强大,晋文公并没有与其正面交锋,而是先派兵攻击楚军右翼,这一翼是陈蔡联军,实力较弱。晋军迅速击溃楚军右翼,随后又击败楚军左翼,最后,楚军主力被前后夹击,大败而逃。此战,晋文公以少胜多,充分展现了避实击虚的战术精髓。晋军避开了楚军强大的中军,集中兵力攻击其薄弱环节,最终取得了全胜,奠定了晋国霸主地位。这场战争不仅以军事上的胜利告终,也为后世留下了宝贵的军事思想遗产,成为后世兵家学习和借鉴的经典战例。

gōng yuán qián liù èr sān nián, jìn chǔ chéng pú zhī zhàn, jìn wén gōng cǎi yòng bì shí jī xū de cè lüè, qǔ dé le jué dìng xìng shèng lì.

기원전 623년, 진나라와 초나라의 성복 전투에서 진나라 문공은 '강한 것을 피하고 약한 것을 공격한다'는 전략을 사용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초나라의 주력 부대는 중앙에 배치되어 매우 강력했지만, 진나라 문공은 정면으로 충돌하는 대신 먼저 초나라의 우익을 공격했습니다. 우익은 진과 채의 연합군으로 비교적 약했습니다. 진나라는 초나라의 우익을 신속하게 격파한 후 좌익도 격파했고, 마지막으로 초나라 주력 부대는 앞뒤에서 포위 공격을 받아 대패하고 도망쳤습니다. 이 전투는 '강한 것을 피하고 약한 것을 공격한다'는 전술의 정수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진나라는 초나라의 강력한 주력 부대를 피하고 병력을 집중하여 약점을 공격함으로써 완벽한 승리를 거두고 진나라의 패권을 확립했습니다. 성복 전투는 군사적 승리뿐만 아니라 후대에 귀중한 군사 사상의 유산을 남겼으며, 후대의 군사 전략가들에게 배워야 할 고전적인 전투 사례가 되었습니다.

Usage

这个成语主要用于军事战略,也常用于比喻其他方面的策略,例如:辩论、谈判、竞争等。

zhège chéngyǔ zhǔyào yòng yú jūnshì zhànlüè, yě cháng yòng yú bǐ yù qítā fāngmiàn de cèlüè, lìrú: biànlùn, tánpàn, jìngzhēng děng

이 관용구는 주로 군사 전략에 사용되지만, 토론, 협상, 경쟁 등 다른 분야의 전략에도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

Examples

  • 面对强大的对手,我们应该避实击虚,选择薄弱环节进攻。

    miàn duì qiáng dà de duì shǒu, wǒ men yīng gāi bì shí jī xū, xuǎn zé báo ruò huán jié jìng gōng

    강력한 상대를 마주할 때는 실력이 강한 부분을 피하고 약한 부분을 공격해야 한다.

  • 讨论问题要抓住重点,不能避实击虚,含糊其辞。

    táo lùn wèn tí yào zhuā zhù zhòng diǎn, bù néng bì shí jī xū, hán hu hu qí cí

    문제를 논의할 때는 핵심을 파악하고 중요한 점을 회피하거나 애매하게 말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