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擒七纵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Explanation
七擒七纵是一个汉语成语,出自《三国志·蜀志·诸葛亮传》,意指三国时,诸葛亮出兵南方,将当地酋长孟获捉住七次,放了七次,使他真正服输,不再为敌。比喻运用策略,使对方心服。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것은 삼국지에서 유래한 중국어 고사성어입니다. 촉한의 승상 제갈량이 남정을 할 때 현지 추장 맹획을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풀어주었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맹획은 결국 항복하여 촉한의 지배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전략을 활용하여 상대방을 설득하고 진심으로 복종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Origin Story
三国时期,蜀国丞相诸葛亮为了巩固后方,率领军队南征,正当大功告成撤军时,南方彝族首领孟获纠集残兵余勇来袭击蜀军。双方一交锋就活捉孟获。诸葛亮从大局出发放他回家。孟获先后七次被捉住,最终真心归顺蜀国。
삼국시대에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후방을 확보하기 위해 남정군을 이끌었습니다. 전투를 끝내고 군대를 철수하려던 찰나, 남방의 이족 수장 맹획은 잔병을 이끌고 촉군을 공격했습니다. 양군이 교전하자 맹획은 바로 포로로 잡혔습니다. 제갈량은 대의를 위해 맹획을 풀어주었습니다. 맹획은 그 후 7번이나 잡혔지만, 결국 마음으로 촉나라에 귀순했습니다.
Usage
七擒七纵,指在战争中采取灵活的策略,使对方最终心服口服地归顺。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것은 전쟁에서 유연한 전략을 사용하여 적을 마침내 진심으로 항복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Examples
-
诸葛亮的七擒七纵,最终使孟获心服口服,真正归顺了蜀汉政权。
zhū gě liàng de qī qín qī zòng, zuì zhōng shǐ mèng huò xīn fú kǒu fú, zhēn zhèng guī shùn le shǔ hàn zhèng quán.
제갈량의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전략은 결국 맹획을 진심으로 복종시켜 촉한 정권에 합류하게 했다.
-
对于那些顽固不化的人,只有用七擒七纵的策略,才能使他们彻底改变。
duì yú nà xiē wán gǔ bù huà de rén, zhǐ yǒu yòng qī qín qī zòng de cè lüè, cái néng shǐ tā men chè dǐ gǎi biàn.
고집 세고 유연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전략을 사용해야만 완전히 바꿀 수 있다.
-
这就像七擒七纵一样,需要反复教育,才能真正改变他们的错误观念。
zhè jiù xiàng qī qín qī zòng yī yàng, xū yào fǎn fù jiào yù, cái néng zhēn zhèng gǎi biàn tā men de cuò wù gǎi niàn.
이는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것과 같이, 반복적인 교육을 통해 잘못된 생각을 진정으로 바꿀 수 있다.
-
七擒七纵,是古代兵法中的一个经典策略,但在现代社会,它仍然具有很强的指导意义。
qī qín qī zòng, shì gǔ dài bīng fǎ zhōng de yī gè jīng diǎn cè lüè, dàn zài xiàn dài shè huì, tā réng rán jù yǒu hěn qiáng de zhǐ dǎo yì yì.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전략은 고대 병법의 고전적인 전략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큰 지침이 된다.
-
在与人交往中,七擒七纵的策略可以帮助我们更好地理解对方,化解矛盾。
zài yǔ rén jiāo wǎng zhōng, qī qín qī zòng de cè lüè kě yǐ bāng zhù wǒ men gèng hǎo de lǐ jiě duì fāng, huà jiě máo dùn.
사람과의 교류에서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주는 전략은 상대방을 더 잘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