哀鸿遍野 āi hóng biàn yě 애홍편야

Explanation

哀鸿遍野形容因天灾人祸而导致的凄惨景象,到处都是流离失所、痛苦呻吟的灾民。

애홍편야는 천재지변과 인재로 인해 발생한 비참한 상황을 묘사하는 말로, 곳곳에 삶의 터전을 잃고 고통스러워하며 신음하는 재민들이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Origin Story

西周时期,周厉王暴政,苛捐杂税,百姓民不聊生,到处都是衣衫褴褛、饥寒交迫的灾民,他们的哭喊声如同鸿雁般凄凉悲鸣,哀鸿遍野。周厉王昏庸无道,不听忠言,最终引发了国人暴动,被迫逃离都城,史称“厉王逃亡”。厉王逃亡后,百姓才得以喘息,但国家元气大伤,社会秩序也遭到严重破坏。 这次事件给后人留下了深刻的教训,也使“哀鸿遍野”成为一个警示世人的成语,警示统治者要以民为本,否则将面临百姓的反抗。

xī zhōu shí qī, zhōu lì wáng bàozhèng, kē juān zá shuì, bǎixìng mín bù liáo shēng, dàochù dōu shì yīsān lánlǚ, jīhán jiāopò de zāimín, tāmen de kūhǎn shēng rútóng hóng yàn bān qīliáng bēimíng, āi hóng biàn yě. zhōu lì wáng hūnyōng wú dào, bù tīng zhōngyán, zuìzhōng yǐnfā le guórén bàodòng, bèi pò táolí dūchéng, shǐ chēng “lì wáng táowáng”. lì wáng táowáng hòu, bǎixìng cái déyǐ chuǎnxī, dàn guójiā yuánqì dà shāng, shèhuì zhìxù yě zāodào yánzhòng pòhuài. zhè cì shìjiàn gěi hòurén liúxià le shēnkè de jiàoxun, yě shǐ “āi hóng biàn yě” chéngwéi yīgè jǐngshì shìrén de chéngyǔ, jǐngshì tǒngzhì zhě yào yǐmín wéi běn, fǒuzé jiāng miànlín bǎixìng de fǎnkàng.

서주 시대, 폭군이었던 려왕은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여 백성들을 압박했습니다. 백성들은 빈곤과 기근에 시달렸고, 도처에서 굶주리고 추위에 떠는 사람들이 있었으며, 그들의 비통한 외침은 기러기의 슬픈 울음소리처럼 울려 퍼졌습니다. 려왕의 잔혹한 통치는 백성들의 반란을 불러일으켰고, 그는 도성에서 도망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은 “려왕의 도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도주 후, 백성들은 비로소 안도했지만, 나라는 쇠약해졌고 사회 질서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사건은 후세 사람들에게 경고가 되었고, “애홍편야”는 백성을 경시하면 반란을 초래한다는 교훈을 담은 관용구가 되었습니다.

Usage

用来形容灾难过后,到处都是流离失所、痛苦呻吟的灾民的悲惨景象。

yòng lái míngshù zāinàn guòhòu, dàochù dōu shì liúlí shìsuǒ, tòngkǔ shēnyín de zāimín de bēicǎn jǐngxiàng

재난 이후, 삶의 터전을 잃고 고통스러워하며 신음하는 재민들이 도처에 있는 비참한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Examples

  • 战乱年代,哀鸿遍野,民不聊生。

    zhànluàn niándài, āi hóng biàn yě, mín bù liáo shēng.

    전란 시대, 도처에 슬퍼하는 기러기가 있었고, 백성들은 빈곤 속에 살았습니다.

  • 灾荒过后,哀鸿遍野,景象凄惨。

    zāihuāng guòhòu, āi hóng biàn yě, jǐngxiàng qīcǎn

    기근 후, 도처에 슬퍼하는 기러기가 있었고, 그 광경은 끔찍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