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臣孽子 gū chén niè zǐ 고독한 신하와 서자

Explanation

孤臣孽子指的是在封建社会中,地位低微、备受冷落、遭受不幸的人。他们通常是孤立无援的臣子或庶出的子女,生活困苦,命运悲惨。

고독한 신하와 서자는 봉건 사회에서 낮은 지위에 있으며 소외되고 불행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들은 보통 고립되어 도움을 받지 못하는 신하 또는 서자로 가난하고 비참한 운명을 겪는다.

Origin Story

战国时期,有个名叫范增的谋士,辅佐项羽征战天下,屡建奇功,却始终不得君主信任。他出身微寒,又因屡次进谏而得罪权贵,在楚汉相争的关键时刻,他的计策被项羽忽视,最终抑郁而终。范增的一生,正可谓是孤臣孽子的典型。他虽有经天纬地之才,却始终被排挤在外,最终抱憾而终。他的遭遇,也成为了后世孤臣孽子悲剧的典型案例,令人扼腕叹息。

zhànguó shíqī, yǒu gè míng jiào fàn zēng de móushì, fǔzuò xiàng yǔ zhēngzhàn tiānxià, lǚ jiàn qīgōng, què shǐzhōng bùdé jūnzhu xìnrèn. tā chūshēn wēihán, yòu yīn lǚ cì jìnjiàn ér dāo zèi quán guì, zài chǔ hàn xiāngzhēng de guānjiàn shíkè, tā de jìcè bèi xiàng yǔ hūshì, zuìzhōng yùyù ér zhōng. fàn zēng de yīshēng, zhèng kěwèi shì gū chén niè zǐ de diǎnxíng. tā suī yǒu jīng tiān wěi dì zhī cái, què shǐzhōng bèi páijǐ zài wài, zuìzhōng bàohàn ér zhōng. tā de zāoyù, yě chéngwéile hòushì gū chén niè zǐ bēijù de diǎnxíng àn lì, lìng rén èwàn tànxī

전국 시대에 항우를 보좌하여 천하 통일을 목표로 했던 번증이라는 군사가 있었습니다. 그는 여러 차례 공을 세웠지만, 항상 군주로부터 신임을 얻지 못했습니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여러 차례 간언을 올렸기 때문에 권력자들의 반감을 샀고, 초한 전쟁의 중요한 국면에서 그의 계책은 항우에 의해 무시되었으며, 결국 그는 억울함을 안고 죽었습니다. 번증의 삶은 바로 고독한 신하이자 서자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항상 소외되었고, 마지막에는 후회와 함께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의 운명은 후세의 고독한 신하이자 서자 비극의 전형적인 예가 되어 사람들의 깊은 동정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Usage

用作宾语,形容人孤独无助,命运悲惨。

yòng zuò bīnyǔ, xíngróng rén gūdu wúzhù, mìngyùn bēicǎn

목적어로 사용되어 사람의 고독함, 무력함, 비참한 운명을 묘사한다.

Examples

  • 他落魄江湖,成了一个孤臣孽子。

    tā luòpò jiānghú, chéngle yīgè gū chén niè zǐ

    그는 몰락하여 고독한 신하이자 서자 신세가 되었다.

  • 这首诗歌充满了孤臣孽子的悲凉情怀。

    zhè shǒu shīgē chōngmǎnle gū chén niè zǐ de bēiliáng qínghuái

    이 시에는 고독한 신하이자 서자의 비통한 감정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