得道多助,失道寡助 dé dào duō zhù,shī dào guǎ zhù 도를 얻는 자는 많이 돕고, 도를 잃는 자는 적게 돕는다

Explanation

得道:合乎道义;失道:违背道义;寡:少。指合乎正义和民心,就会得到众人的拥护和帮助;反之,就会孤立无援。

득도(de)는 도덕적으로 옳은 것을 의미하고, 실도(shi)는 도덕적으로 그릇된 것을, 과(gua)는 적은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정의와 민심에 부합하면 많은 사람들의 지지와 도움을 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고립무원이 된다는 뜻입니다.

Origin Story

春秋时期,齐国攻打鲁国,鲁国国君向晋国求救。晋国国君召集大臣们商议,有人主张援助鲁国,有人主张袖手旁观。一位大臣分析说:‘齐国为虎作伥,滥杀无辜,不得人心;鲁国仁义礼智信,深受百姓爱戴。所以,齐国失道寡助,鲁国得道多助,我们应当援助鲁国。’晋文公采纳了这个建议,出兵帮助鲁国,最终取得了胜利,这便是‘得道多助,失道寡助’的真实写照。

Chunqiu shidai, Qiguo gong da Luguo, Luguo guo jun xiang Jinguo qiu jiu. Jinguo guo jun zhao ji dacheng men shang yi, you ren zhushaoyuanzhu Luguo, you ren zhushao xiu shou pang guan. Yi wei dacheng fenxi shuo: ‘Qiguo wei hu zuo chang, lansha wuguo, bude renxin; Luguo renyi lizhi xin, shen shou baixing aidao. Suoyi, Qiguo shidao guazhu, Luguo dedao duozhu, women yingdang yuanzhu Luguo.’ Jin Wengong cainale zhege jianyi, chubing bangzhu Luguo, zhongyu qude le shengli, zhe bian shi ‘dedao duozhu, shidao guazhu’ de zhenshi xiezhao.

춘추시대에 제나라가 노나라를 공격했다. 노나라의 군주는 진나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진나라의 군주는 신하들을 불러 회의를 열었는데, 노나라를 도와야 한다는 자와 관망해야 한다는 자가 있었다. 어떤 신하가 분석하여 말했다.“제나라는 폭정을 행하고 무고한 백성을 죽여 민심을 잃었다. 반면 노나라는 인의예지신을 중시하고 백성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그러므로 제나라는 寡助이고 노나라는 多助이다. 우리는 노나라를 도와야 한다.” 진문공은 이 의견을 채택하고 군대를 파견하여 노나라를 도왔고, 결국 승리를 거두었다. 이것이 ‘得道多助, 失道寡助’의 실제 사례이다.

Usage

常用来形容执政者或做事情应该以道义为准则,符合道义就能得到广泛的支持,反之则会遭到孤立。

chang yong lai xingrong zhizheng zhe huo zuo shiqing yinggai yi daoyi wei zhunze, fuhe daoyi jiu neng dedao guangfan de zhichi, fanzhi ze hui zaodao guli.

통치자나 일을 할 때는 도덕적 원칙을 따라야 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도덕에 부합하면 폭넓은 지지를 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고립될 것이다.

Examples

  • 得道多助,失道寡助,这是千古不变的真理。

    dedaoduōzhù,shīdàoguǎzhù

    도를 얻는 자는 많이 돕고, 도를 잃는 자는 적게 돕는다.

  • 反观历史,那些施行暴政的王朝,最终都走向了衰败,这正应了‘得道多助,失道寡助’这句话。

    역사를 보면 폭정을 행한 왕조들은 결국 쇠퇴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바로 ‘도를 얻는 자는 많이 돕고, 도를 잃는 자는 적게 돕는다’는 속담을 증명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