揭竿而起 jiē gān ér qǐ 봉기하다

Explanation

比喻人民群众奋起反抗暴政。

폭정에 대한 민중의 봉기의 비유.

Origin Story

公元前209年,秦朝末年,陈胜吴广率领九百名戍卒押送前往渔阳,途中遭遇暴雨,误了期限,按秦律当斩。走投无路之下,他们揭竿而起,发动了震惊全国的大泽乡起义,喊出了“王侯将相宁有种乎”的口号,最终推翻了秦朝的暴政。大泽乡起义是中国历史上第一次大规模农民起义,具有划时代的意义。起义的成功,不仅给予了被压迫人民以希望,也为后来的楚汉相争奠定了基础。此后,无数次农民起义,都将“揭竿而起”作为反抗暴政的旗帜,延续着反抗压迫的意志。

gōngyuán qián èr líng jiǔ nián, qín cháo mò nián, chén shèng wú guǎng shuài lǐng jiǔ bǎi míng shù zú yā sòng qián wǎng yú yáng, tú zhōng zāo yù bàoyǔ, wù le qīxiàn, àn qín lǜ dāng zhǎn. zǒu tóu wú lù zhī xià, tāmen jiē gān ér qǐ, fādòng le zhèn jīng quán guó de dàzé xiāng qǐyì, hǎn chū le “wáng hóu jiàng xiàng níng yǒu zhǒng hū” de kǒuhào, zuì zhōng tuī fān le qín cháo de bàozhèng. dàzé xiāng qǐyì shì zhōngguó lìshǐ shàng dì yī cì dà guīmó nóngmín qǐyì, jù yǒu huà shídài de yìyì. qǐyì de chénggōng, bù jǐn jǐ yǔ le bèi yāpèi rénmín yǐ xīwàng, yě wèi hòulái de chǔ hàn xiāng zhēng diàn dìng le jīchǔ. cǐ hòu, wúshù cì nóngmín qǐyì, dōu jiāng “jiē gān ér qǐ” zuòwéi fǎnkàng bàozhèng de qízhì, yánxù zhe fǎnkàng yāpèi de yìzhì.

기원전 209년, 진나라 말기에 진승과 오광은 900명의 수졸을 이끌고 어양으로 향했는데, 도중에 폭우를 만나 기한을 맞추지 못했다. 진나라 법에 따르면 모두 참수되어야 했다. 갈 곳을 잃은 그들은 봉기를 일으켜 온 나라를 뒤흔든 대택향의 난을 일으켰다.“왕후장상이 녕종자乎?”라는 구호를 외치며 마침내 진나라의 폭정을 무너뜨렸다. 대택향의 난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농민 봉기이며, 시대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닌다. 이 봉기의 성공은 억압받던 사람들에게 희망을 안겨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초한쟁패의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후 수많은 농민 봉기에서 “간을 붙들고 일어선다”는 것은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 되어 억압에 대한 저항의 의지를 계승해 왔다.

Usage

形容人民群众奋起反抗暴政。

xíngróng rénmín qúnzhòng fèn qǐ fǎnkàng bàozhèng.

민중의 폭정에 대한 봉기를 나타낸다.

Examples

  • 面对强敌,他毫不畏惧,揭竿而起,领导人民反抗暴政。

    miàn duì qiáng dí, tā háo bù wèi jù, jiē gān ér qǐ, lǐng dǎo rén mín fǎn kháng bàozhèng.

    강적 앞에서도 그는 두려워하지 않고 봉기하여 백성을 이끌고 폭정에 저항했다.

  • 消息传来,各路义军揭竿而起,响应号召,共同抗击侵略者。

    xiāoxī chuán lái, gè lù yìjūn jiē gān ér qǐ, xiǎng yìng hàozhào, gòngtóng kàng jī qīnluè zhě.

    소식이 전해지자 각지의 의병들이 봉기하여 호응하여 함께 침략자에 맞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