欲擒故纵 욕금고종
Explanation
故意先放开对方,使其放松警惕,再伺机将其捉住。是一种策略,常用于军事和谈判中。
상대방을 먼저 일부러 놓아두어 경계심을 풀게 한 다음 기회를 포착하여 잡는 것. 군사 및 협상 등에서 사용되는 전략이다.
Origin Story
三国时期,诸葛亮与司马懿斗智斗勇。一次,司马懿率大军来犯,诸葛亮却故意示弱,撤兵而去。司马懿疑惑不解,深入蜀中,结果中了诸葛亮的埋伏,损失惨重。诸葛亮正是用了“欲擒故纵”之计,先放走司马懿,让他放松警惕,再集中兵力将其歼灭。
삼국 시대, 제갈량과 사마의는 지략으로 경쟁했다. 어느 날 사마의가 군사를 이끌고 공격해왔지만, 제갈량은 일부러 약한 척하며 퇴각했다. 사마의는 의아하게 생각하며 촉나라 깊숙이 들어갔지만, 제갈량의 매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다. 제갈량은 ‘욕금고종’ 계략을 사용하여 사마의를 먼저 도망가게 하여 방심하게 만든 후, 병력을 집중하여 그를 섬멸했다.
Usage
主要用于形容一种战略战术,故意先放开对方,使其放松警惕,再伺机将其捉住。
주로 전략 전술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상대방을 먼저 일부러 놓아 경계심을 풀게 한 다음 기회를 포착하여 잡는 것을 말한다.
Examples
-
他用欲擒故纵的策略,最终制服了强敌。
tā yòng yù qín gù zòng de cèlüè, zuìzhōng zhìfú le qiángdí.
그는 욕금고종 전략을 사용하여 마침내 강적을 제압했다.
-
谈判中,他故意先做出让步,实则欲擒故纵。
tánpàn zhōng, tā gùyì xiān zuò chū ràngbù, shízé yù qín gù zòng
협상에서 그는 일부러 먼저 양보하는 척했지만, 사실은 욕금고종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