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晏河清 hǎi yàn hé qīng 해안하청

Explanation

形容天下太平,社会安定,国家繁荣昌盛的景象。

태평성대, 사회 안정, 국가 번영의 모습을 묘사함.

Origin Story

传说上古时期,黄河水清澈见底,大海风平浪静,天下太平,百姓安居乐业。这便是海晏河清的景象。后来,人们用这个成语来形容国家安定、社会祥和的盛世局面。传说大禹治水成功后,黄河河水清澈,大海风平浪静,呈现出一派太平盛世的景象,百姓安居乐业,这便是“海晏河清”的由来。唐朝诗人薛逢在《九日曲池游眺》中写道:“正当海晏河清日,便是修文偃武时。”表达了诗人对国家太平盛世的期盼。

chuán shuō shànggǔ shíqī, huáng hé shuǐ qīng chè jiàn dǐ, dà hǎi fēng píng làng jìng, tiān xià tài píng, bǎixìng ān jū lè yè. zhè biàn shì hǎi yàn hé qīng de jǐng xiàng. hòu lái, rén men yòng zhège chéngyǔ lái xíngróng guójiā ān dìng, shèhuì xiáng hé de shèngshì júmiàn.

전설에 따르면 고대에는 황하의 물이 맑고 깨끗했고 바다는 잔잔했으며 천하태평으로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았다고 한다. 이것이 해안하청의 광경이다. 그 후 사람들은 국가의 안정, 사회의 평화로운 성세를 묘사할 때 이 관용구를 사용하게 되었다. 대우가 치수에 성공한 후 황하의 물은 맑아졌고 바다는 잔잔해졌으며 태평성대의 광경이 나타나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았다고 한다. 이것이 '해안하청'의 유래이다. 당나라 시인 설봉은 '구일곡지유조'에서 '정당해안하청일, 편시수문연무시'라고 읊으며 국가의 태평성대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고 있다.

Usage

用来形容国家太平、社会安定、百姓安居乐业的盛世景象。

yòng lái xíngróng guójiā tài píng, shèhuì ān dìng, bǎixìng ān jū lè yè de shèngshì jǐng xiàng

국가가 평화롭고 사회가 안정적이며 국민들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번영된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Examples

  • 海晏河清的盛世景象令人向往。

    hǎi yàn hé qīng de shèngshì jǐngxiàng lìng rén xiàngwǎng

    해안하청의 번영된 모습이 부럽다.

  • 国家实现了海晏河清的局面。

    guójiā shíxiàn le hǎi yàn hé qīng de júmiàn

    나라는 해안하청의 상황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