鼎足三分 dǐng zú sān fēn 삼분지계

Explanation

比喻三方势力对峙,力量均衡的局面。通常指三方势力各自占据一定的区域或领域,形成相互制衡的局面。

세 세력이 대치하여 힘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이다. 보통 세 세력이 각각 일정한 지역이나 영역을 차지하여 서로 견제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Origin Story

话说东汉末年,天下大乱,群雄逐鹿,最终形成了曹操、刘备、孙权三足鼎立的局面。曹操占据北方,势力最为强大;刘备占据益州,励精图治;孙权占据江东,稳固后方。三国之间,互有攻伐,却又谁也吞并不了谁,形成了长期对峙的局面。这便是历史上著名的“三国鼎立”时期。 然而,这看似平衡的局面,其实暗藏危机。三国之间,尔虞我诈,猜忌不断,为了争夺天下,他们不断地进行战争,百姓也饱受战乱之苦。最终,司马炎统一全国,结束了“鼎足三分”的局面。这个故事告诉我们,虽然表面上看起来很平衡的局面,实际上也充满了各种不确定性,稍有不慎,就会导致全局崩盘。

huà shuō dōnghàn mònián, tiānxià dàluàn, qúnxióng zhúlù, zuìzhōng xíngchéngle cáo cāo, liú bèi, sūn quán sān zú dǐnglì de júmiàn. cáo cāo zhànjù běifāng, shìlì zuìwéi qiángdà; liú bèi zhànjù yìzhōu, lì jīng tú zhì; sūn quán zhànjù jiāngdōng, wěngù hòufāng. sānguó zhī jiān, hù yǒu gōngfá, què yòu shuí yě tūn bìng bù liǎo shuí, xíngchéngle chángqí duìzhì de júmiàn. zhè biàn shì lìshǐ shàng zhùmíng de “sānguó dǐnglì” shíqī.

후한 말엽, 천하가 크게 어지러워 여러 영웅들이 패권을 다투었고, 결국 조조, 유비, 손권 삼국이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조조는 북방을, 유비는 익주를, 손권은 강동을 차지하고 서로 공격했지만, 아무도 다른 나라를 완전히 정복할 수 없어 장기간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 이것이 바로 역사적으로 유명한 ‘삼국지 시대’이다. 하지만 이렇게 균형이 잡혀 보이는 상황은 실제로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삼국 간에는 속임수와 의심, 그리고 지배권을 차지하기 위한 끊임없는 전쟁이 계속되었고, 백성들도 끊임없는 전란으로 고통을 겪었다. 마침내 사마염이 전국을 통일하여 ‘삼국 대립’ 시대는 끝이 났다. 이 이야기는 표면적으로 균형이 잡혀 보이는 상황에도 실제로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작은 실수가 전체적인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Usage

多用于形容三方势力力量均衡,互相制衡的局面。

duō yòng yú xíngróng sānfāng shìlì lìliàng jūnhéng, hùxiāng zhìhéng de júmiàn.

세 세력이 균형을 이루고 서로 견제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Examples

  • 三国时期,魏蜀吴三足鼎立,形成了鼎足三分的局面。

    sānguó shíqí, wèi shǔ wú sān zú dǐnglì, xíngchéngle dǐngzú sān fēn de júmiàn.

    삼국 시대에 위, 촉, 오는 삼국지세를 형성하여 세 강국이 대립하는 상황이 되었다.

  • 如今,这三个公司鼎足三分,市场竞争异常激烈

    rújīn, zhè sān ge gōngsī dǐngzú sān fēn, shìchǎng jìngzhēng yìcháng jīliè

    현재 이 세 회사가 시장을 3분하고 있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