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分鼎足 sān fēn dǐng zú 세 발 달린 솥

Explanation

比喻三方势力对峙,各自占据一方,形成鼎立之势。

세 세력이 서로 대치하여 각각 한쪽을 차지하고 鼎足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Origin Story

公元前206年,秦朝灭亡,项羽在巨鹿之战中大破秦军主力,随后在鸿门宴上放过刘邦,自称西楚霸王,分封诸侯。然而,刘邦并未甘心屈居人下,他招兵买马,四处征战,逐渐壮大自己的势力。与此同时,其他诸侯也各自为政,相互争夺地盘。经过多年的征战,最终形成了以刘邦为首的汉朝、以项羽为首的楚国以及其他割据势力三分天下的局面。这便是历史上著名的“楚汉相争”时期,也是“三分鼎足”的典型例证。

gōngyuán qián 206 nián, qín cháo mièwáng, xiàng yǔ zài jù lù zhī zhàn zhōng dà pò qín jūn zhǔlì, suíhòu zài hóng mén yàn shàng fàng guò liú bāng, zì chēng xī chǔ bà wáng, fēn fēng zhū hóu。rán'ér, liú bāng bìng wèi gānxīn qū jū rén xià, tā zhāo bīng mǎi mǎ, sì chù zhēng zhàn, zhú jiàn zhuàng dà zìjǐ de shìlì。tóngshí, qítā zhū hóu yě gèzì wéi zhèng, xiāng hù zhēngduó dìpán。jīng guò duō nián de zhēng zhàn, zuìzhōng xíng chéng le yǐ liú bāng wéi shǒu de hàn cháo、yǐ xiàng yǔ wéi shǒu de chǔ guó yǐjí qítā gē jù shìlì sān fēn tiānxià de júmiàn。zhè biàn shì lìshǐ shàng zhùmíng de “chǔ hàn xiāng zhēng” shíqī, yě shì “sān fēn dǐng zú” de diǎnxíng lìzhèng。

기원전 206년, 진나라가 멸망하고, 항우는 거록 전투에서 진나라 주력군을 크게 무찔렀으며, 그 후 鴻門에서 유방을 살려주고 스스로 서초패왕을 칭하며 제후들을 분봉했다. 하지만 유방은 굴욕적인 지위에 만족하지 않고, 군사를 모아 여러 곳에서 전투를 벌이며 세력을 점차 확장했다. 동시에 다른 제후들도 각자 독립하여 영토를 다투었다. 수년간의 전쟁 끝에, 유방이 이끄는 한나라, 항우가 이끄는 초나라, 그리고 다른 분열 세력들이 천하를 삼분하는 구도가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 이것은 역사상 유명한 「초한전쟁」이며, 「삼분鼎足」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Usage

用于形容三方势力互相抗衡的局面。

yòng yú xíngróng sān fāng shìlì xiāng hù kàng héng de júmiàn

세 세력이 서로 대립하고 있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Examples

  • 魏蜀吴三国鼎足而立,形成了长期的对峙局面。

    Wèi Shǔ Wú sān guó dǐng zú ér lì, xíng chéng le chángqí de duìzhì júmiàn。

    위, 촉, 오 삼국이 鼎足 상태를 이루어 장기적인 대립 구도를 형성했다.

  • 如今市场竞争激烈,只有实力强大的企业才能三分鼎足。

    Rújīn shìchǎng jìngzhēng jīliè, zhǐyǒu shílì qiángdà de qǐyè cáinéng sān fēn dǐng zú。

    오늘날 시장 경쟁이 치열하여 강력한 기업만이 삼각편대를 이룰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