势不两立 세력이 서로 양립할 수 없다
Explanation
指敌对的双方不能同时存在,比喻矛盾不可调和。
적대하는 두 세력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뜻으로, 조화될 수 없는 모순의 비유이다.
Origin Story
话说东汉末年,天下大乱,群雄逐鹿。曹操挟天子以令诸侯,势力日益强大,先后击败袁绍、刘表等诸侯,统一北方指日可待。然而,南方却还有孙权、刘备两大势力,与曹操形成三足鼎立之势。曹操野心勃勃,欲一统天下,于是率大军南下,意欲先灭孙权,再图刘备。孙权得知曹操来势汹汹,召集文武百官商议对策。群臣之中,有主张投降者,也有主张联合刘备抗曹者。最终,孙权采纳了周瑜的建议,与刘备结盟,共同抗击曹操。赤壁之战,曹操惨败,从此奠定了三国鼎立的局面。此后,曹操、孙权、刘备之间,虽然不时有联盟,却也始终矛盾重重,互相对抗,直至魏蜀吴三家各自称帝,形成了你死我活,势不两立的局面。
후한 말기, 천하는 혼란에 휩싸였고 많은 영웅들이 패권을 다투었다. 조조는 천자를 이용하여 제후들을 지휘하며 세력을 키워 나갔다. 원소, 유표 등의 제후들을 차례로 물리치면서 북방 통일이 눈앞에 다가왔다. 그러나 남쪽에는 손권과 유비라는 두 세력이 남아 조조와 삼각 구도를 이루고 있었다. 야심만만한 조조는 천하 통일을 위해 대군을 이끌고 남하하여 먼저 손권을 제압한 뒤 유비를 치려 했다. 손권은 조조의 대군의 공격을 알고 문무백관을 불러 대책을 논의했다. 신하들 중에는 항복을 주장하는 자도 있었고 유비와 연합하여 조조에 맞서 싸워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결국 손권은 주유의 의견을 받아들여 유비와 동맹을 맺고 함께 조조에 대항했다. 적벽대전에서 조조는 대패를 하고 삼국이 함께하는 상황이 확정되었다. 이후 조조, 손권, 유비 사이에는 일시적인 동맹도 있었지만 항상 긴장과 갈등이 지속되었고, 위, 촉, 오가 각각 황제를 자칭하면서 사활을 건, 힘으로는 공존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Usage
形容敌对双方矛盾尖锐,不可调和。多用于政治、军事等方面。
적대하는 양측의 대립이 날카롭고 타협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주로 정치나 군사적 상황에서 사용된다.
Examples
-
曹操与刘备、孙权势不两立,最终三国鼎立。
Cao Cao yu Liu Bei, Sun Quan shi bu liang li, zhongjiu Sanguo dingli.Zhengyi yu xie'e shi bu liang li, zhongjiu zhengyi bi jiang shengli xie'e
조조와 유비, 손권은 서로 양립할 수 없었고, 결국 삼국이 함께하게 되었다.
-
正义与邪恶势不两立,最终正义必将战胜邪恶。
정의와 악은 양립할 수 없으며, 결국 정의가 승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