唯唯否否 Wěi wěi fǒu fǒu 맹목적으로 동의하거나 반대함

Explanation

形容人胆小怕事,一味顺从,没有主见。

겁이 많고 소심하며 자신의 의견 없이 맹목적으로 따르는 사람을 묘사하는 표현이다.

Origin Story

话说唐朝时期,有一个名叫李白的书生,他学识渊博,才华横溢,却性格懦弱,胆小怕事。一天,他与朋友王维一起上街,遇到一群地痞流氓,他们拦住王维,要挟他交出钱财。王维毫不畏惧,挺身而出,与他们理论,而李白则吓得躲在一边,唯唯否否,不敢吭声。后来,王维凭借自己的智慧和勇气,成功摆脱了困境,而李白则因害怕而丢尽了颜面。从此以后,人们便用“唯唯否否”来形容那些胆小怕事,一味顺从的人。

huà shuō táng cháo shíqī, yǒu yīgè míng jiào lǐ bái de shūshēng, tā xuéshí yuánbó, cáihuá héngyì, què xìnggé nuòruò, dǎn xiǎo pà shì. yī tiān, tā yǔ péngyǒu wáng wéi yīqǐ shàng jiē, yù dào yī qún dìpǐ liúmáng, tāmen lán zhù wáng wéi, yāo xié tā jiāo chū qiáncái. wáng wéi háo bù wèijù, tǐng shēn ér chū, yǔ tāmen lílùn, ér lǐ bái zé xià de duǒ zài yībìan, wěi wěi fǒu fǒu, bù gǎn kēngshēng. hòulái, wáng wéi píngjié zìjǐ de zhìhuì hé yǒngqì, chénggōng tuō bǎi le kùnjìng, ér lǐ bái zé yīn hàipà ér diū jìn le yánmiàn. cóng cǐ yǐhòu, rénmen biàn yòng "wěi wěi fǒu fǒu" lái xíngróng nàxiē dǎn xiǎo pà shì, yīwèi shùncóng de rén.

당나라 시대에 이백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학식이 풍부하고 재능이 뛰어났지만, 소심하고 겁이 많았다. 어느 날, 친구 왕유와 함께 거리를 걷다가 불량배들에게 둘러싸였다. 그들은 왕유를 붙잡고 돈을 요구했지만, 왕유는 두려워하지 않고 맞섰다. 반면 이백은 겁에 질려 옆으로 비켜 서서 주저하며 두려워하는 말만 했다. 결국 왕유는 지혜와 용기를 발휘하여 위기를 모면했지만, 이백은 겁 때문에 망신을 당했다. 그 이후로 사람들은 "唯唯否否"라는 말로 겁이 많고 순종적인 사람을 묘사한다.

Usage

用来形容人胆小怕事,一味顺从。

yòng lái xíngróng rén dǎn xiǎo pà shì, yīwèi shùncóng

겁이 많고 순종적인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Examples

  • 他总是唯唯否否,不敢表达自己的意见。

    tā zǒngshì wěi wěi fǒu fǒu, bù gǎn biǎodá zìjǐ de yìjian.

    그는 항상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동의하거나 반대한다.

  • 面对领导的批评,他唯唯否否,不敢反驳。

    miàn duì lǐngdǎo de pīpíng, tā wěi wěi fǒu fǒu, bù gǎn fǎnbó.

    상사의 비판에 직면했을 때 그는 반박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동의하거나 반대한다.

  • 这种唯唯否否的态度,不利于问题的解决。

    zhè zhǒng wěi wěi fǒu fǒu de tàidu, bùlì yú wèntí de jiějué

    이러한 맹목적인 태도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