屈膝求和 굴복하여 화해를 청하다
Explanation
屈膝求和指下跪请求和解,形容以卑躬屈膝的姿态向强者求和。通常带有贬义,暗示一方实力弱小,不得不低头服软。
'굴복하여 화해를 청하다'는 무릎을 꿇고 화해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며, 더 강한 세력에게 굴복하여 평화를 간청하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며, 한쪽 세력이 약하고 머리를 숙여 유화적인 태도를 취해야 함을 암시합니다.
Origin Story
话说战国时期,燕国屡次侵犯赵国边境,赵国国力日渐衰弱,无力还击。赵王无奈之下,只得派使臣前往燕国,屈膝求和,以求暂时苟安。燕王见赵国如此示弱,不仅没有停止侵略,反而变本加厉,狮子大开口,索要巨额赔款和大量土地。赵国百姓怨声载道,然而朝廷内部却无人敢言。不久之后,燕国又出兵攻打赵国,赵国最终灭亡。这个故事警示我们:一味屈膝求和,只会助长侵略者的气焰,最终只会自食其果。
전국시대에 연나라는 여러 차례 조나라의 국경을 침범했고, 조나라는 점차 쇠약해져서 반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조왕은 절망 속에서 연나라에 사신을 보내 겸손하게 화해를 청하며 일시적인 안정을 기대했습니다. 연왕은 조나라의 약화를 보고 침략을 멈추기는커녕 더욱 강화하여 막대한 배상금과 광대한 토지를 요구했습니다. 조나라 백성들은 항의했지만, 조정에서는 아무도 감히 말하지 못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연나라는 다시 조나라를 공격했고, 결국 조나라는 멸망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경고를 줍니다. 끊임없이 굴복하는 것은 침략자를 더욱 고무시킬 뿐이며, 결국 자업자득하게 될 것입니다.
Usage
常用作谓语、宾语;形容被迫求和。
술어나 목적어로 자주 쓰이며, 강압적인 화해를 나타냅니다.
Examples
-
面对强大的敌人,他们不得不屈膝求和。
miàn duì qiángdà de dírén, tāmen bùdébù qū xī qiú hé wèile bìmiǎn zhànzhēng, tā xuǎnzé qū xī qiú hé, bǎoquán guójiā
강력한 적에 맞서 그들은 굴복하여 화해를 청해야 했다. 전쟁을 피하기 위해 그는 굴복하여 화해를 선택하여 나라를 구했다.
-
为了避免战争,他选择屈膝求和,保全国家。